전시2018. 2. 15. 00:26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날이 순식간에 풀려서 털점퍼가 부담스러운 날.
(일주일전만 해도 한파주의보 떴던데 지금은 영상10도 가까이 되다니)

디뮤지엄(DMuseum)과 대림미술관과 이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지만 어찌됬던
디뮤지엄은 한남동쪽 대림미술관은 광화문쪽에 있다.
특이하게도 대림미술관에서 구입한 티켓이 있다면 디뮤지엄에서 현재 전시하고 있는것을 50% 할인해서 구입할수있고
그 옆에 있는 구슬모아당구장에서 무료 전시를 함께 보기 편리하다.

대림미술관 6천원,디뮤지엄 8천원 하지만 50%할인하면 만원으로 세 곳를 관람할 수 있는 괜찮은 구성이지만
아쉽게도 많이 떨어져 있으니 대림미술관을 관람 한 후 디뮤지엄과 구슬모아 당구장은 나중에 관람하고
대림미술관 바로 옆에 있고 매우 괜찮은 국립고궁박물관을 함께 가는것이 좋아보인다.(관람료 무료)
지금 특별전을 하고 있으니 더욱더 좋다.(이곳만 가도 충분히 좋음)
국공립시설들은 저렴하면서 좋은 전시회를 많이 하지만 세종문화회관,예술의전당과 DDP에선 그런 느낌을 받을수 없다.
세금으로 지어진걸텐데 공연도 비싸고 전시도 비싸고. 특히 비싼 공연을 많이 한다. 개놈들.

이 전시는 사진찍으라고 하는거 같기도 하고(디뮤지엄도 마찬가지 느낌)
천천히 작품을 관람하기 어렵다.
작품을 다같이 보면서 사진 찍을 사람은 찍으면 되는데
사진속에 당사자를 넣으려 하기때문에 제대로 감상하기 어려우니
평일 오전에 가던가(대부분 이런건 평일 오전이 한가로움) 아니면 그냥 떠밀리듯 가면서 사진 찍고 나오면 됨

고궁박물관은 대단히 화려하고 멋진 것들을 많이 전시하고 있지만 너무 한산한것을 보면
컨셉을 어떻게 설정하냐에 따라서 관객의 호응의 차는 대단히 크다.
그러나 일상에선 보기 힘들고 왕을 위한것들이라 그 모든것들이 예술적 가치가 있을정도로 뛰어나니
여유를 갖고 가보시길..

 

글귀가 마음에 들어서.. ^_^
(시인 허형만의 '겨울 들판을 거닐며'란 시의 한구절)

책상위 이정도의 소박함을 원했지만 현실은 참혹 그 자체

Posted by 시세상
다이어리2018. 2. 12. 16:35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나갔다가 들어올때 밥 안해먹는 날이라 짜장면같은거 사와서
별 생각없이 컴퓨터를 보며 먹는데
느낌이 별로라 밥상(?)을 훌터보니 개엉망 -.,-;;;

바다나 껍질은 먹을것도 아닌데 왜 쌓아두고있는지 젠장
아무리 밥상 겸용으로 구입한것이라 온갖게 있어도 관계는 없지만
(바닥은 청소기가 돌아다녀서 저런게 바닥에 있다면 더 엉망이 됨)

계속 뒀다간 산처럼 봉우리가 생길거 같아서 싹 치웠지만 별거 아닌데 귀찮다

'다이어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겨울 마지막 눈일수도 있어서  (0) 2018.02.23
한동안 안보이던데  (0) 2018.02.20
어리석은 놈  (0) 2018.02.09
선물 받은 한라봉  (0) 2018.02.04
이 오묘한 맛은?  (0) 2018.01.22
Posted by 시세상
연극.공연2018. 2. 10. 22:3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토요일은 빈둥 빈둥 돌아다니거나 집청소를 하거나 이것저것 좀 보다가
소극장을 가는데 오늘은 청소 후 특별히 한거없이 시간이 순식간에 지나간거 같다.
바람이 너무 거세서 기억까지 날려갔나?

에떼아뜨르란 소극장은 도데체 어디 있는거냐?
약도도 있고 지도도 있지만 도무지 보이질 않는다.

우연히(?) 찾았는데 수박통만하게 극장이름을 붙여놓은것 외엔 아무것도 없다.
공연중이라면 사람만한 현수막이라도 좀 걸어놓으면 길가라서 찾기 쉽겠던데 아무것도 없고
극장에서 티켓을 받았으나 입장시간이 되지 않아서 추운밖에서 배회하다가 들어갈수밖에 없는
관객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곳 (티켓 주는 곳 앞에 무대에 있는것 같은 긴 의자를 놓으면
몇명을 앉을수 있겠지만 비좁다고 생각해서 그러지 않았다면 온풍기라도 놔서 기다리게 하던가)

시간이 어느정도 잘 맞아서 5분정도 헤매고 5분정도 기다렸으니 망정이지
일찍이라도 도착했으면 꽤나 난처할뻔 했다.

동물원에선 도데체 무슨일이 생겼을까?
무엇이 그를 그렇게 외롭게 한것인지 모르겠다.

저 사람의 상황이 어떠하든 살고 있는데
원작을 읽어보지 못했으나
연극의 저 젊은이는 무엇인가 갈구하는 사람으로 보이지 않고
눈 앞에 보이는 다른 젊은이에게 시비를 걸고 싶은 사람같이 보인다.

그냥 심심한 사람

사회 부조리에 항변 하는것보단 괴변론자라 하는게 잘 어울릴법한 사람.

휴식을 갖는 한 남자에게 교묘히 파고들며 심기를 건들면서 자신의 괴변을 듣길 원하는
생각이 자신을 먹어버린 그런 형태

마지막엔 수년간 갖었던 자신만의 휴식처를 파괴해버리는 잔인성마져..
(개인적으론 과거부터 이어져오는 시간을 파괴하는 행위는
돈이나 기타 다른것에 눈먼놈들이나 하는 짓이란 생각임. 땅을 뒤집어 놓는 짓은 특히 더)

원작의 일부를 찾아보면 느낌이 좀 다르던데 각색을 한것인지(각색이 아니라 줄였나?)
내가 그 시간에 졸았던건지 어찌됬던 느낌이 다르다.

나즈막하고 정갈하게 다듬어진 사람의 억양, 집단사회를 기피하려는 사람같지도 않다.
흔하지 않는 가정사를 너무나 태연히 이야기하는 모습은 소시오패스인가?라는 착각마져
연극이 보여주려는 내용과 다르게 받아드려지던데
이것은 연출이 이상하거나 내가 이상하거나 둘중 하나는 틀림없는거 같다.

마지막 5~10분정도 잠시 언성이 높아지는 부분들 제외하면
계속 비슷한 톤을 유지하기때문에 내용에 귀기울리기 쉽지않은 집중력을 요한다.
그럼에도 연극이 끝날때까지 졸지 않을 수 있었던것은 한시간 남짓의 엄청 짦은 연극
(인터넷 예매할땐 90분이라 적혀있더니)

요즘엔 왠만해서 너무 짧은 연극은 보지 않으려고 공연시간도 보는 편인데
(한시간 연극을 보고 집에 오면 뭔가 허~함)

30일 공연의 마지막날에 관객이 열명이 안되고
그중 자고 있는 사람 두명 이중 한명은 잠에서 깨어나더니 전화로 메신저질을 하고 있고
(보기 싫으면 그냥 나가지 왜 어두운 극장속에서 메신저질을 하고있는지
이 사람은 어떤 상식을 지니고 있는지 가늠하기 어렵다.)

짧지만 두명이 나와 끊임없이 대화하는 연극이라 대사량이 많던데
전반적으로 비슷한 분위기가 50분간 이어지니 그 누구인들 졸립지 않겠냐만은
최소한 원작자가 전하려 했던 본질은 충실히 전달하려 노력했어야 하지 않나?란 생각이 든다.
(집요하게 주제를 파고 들면 졸더라도 잠에서 깨어났을때 주제를 잃지 않음)

집에 와서 줄거리등을 찾아 읽어보면 그리 어려운 내용도 아니었는데

그리고 'ㄱ'자모양 관객석인데 관객이 얼마 없다면 한쪽으로 몰고 다른 한쪽을 막을경우
배우도 동선이 편하고 관객도 좋은데 아직 미숙한것인지
('ㄱ'자 관객석이 있는 곳은 이런부분에서 좀 신경써야 함)
온풍기 세기도 좀 약하게 해서 소음을 좀 덜나게 해주고
공연 시작전엔 오늘과 같이 휴대폰 켜서 메신저 질 못하게 인트로에 관련 안내도 좀 해주고

재미 있을뻔한 내용이었는데

사회에서 도태되어 시간만을 보는자, 반대로 어느정도 성공 후 여유를 즐기는 자
(성공이란게 물질적,관습적,사회적 기준으로 조금 우위에 있다는 정도 따위?)
이 둘간의 갈등, 이것은 사회 전반적인 갈등적 요소라서 잘만 표현되었다면
몇일은 머리속이 즐거웠을수도 있었는데 아쉬움이 뒤따른다.

'연극.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 -한국음악 명인전-  (0) 2018.02.25
연극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0) 2018.02.18
연극 -빗소리 몽환도-  (0) 2018.02.04
연극 -아버지(Fadren)-  (0) 2018.01.27
연극 -여보 나도 할말있어-  (0) 2018.01.21
Posted by 시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