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공연2024. 8. 15. 22:05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바람이 점점 가벼워진다. 다이어트를 하고 있어서 그런지 몸도 가볍게 느껴지고
하지만 아직 많이 뜨거워 에어컨 빵빵한 회사가 그립다. 공휴일이자 휴가 시작인 오늘인데
말복도 어제였지만 아직 삼계탕을 못 먹었다. 있을수 없는 일이지만 왠지 삼계탕을 먹으면
그 동안의 다이어트가 실패로 돌아갈거 같아서 일단 참아본다.

파더레스가 애비없는 자식이란 뜻인가? 극중 학교 선생으로 나오는 '플라토노프' 란 제목도 있다.
'제목 없는 희곡' 이란 말도 있다. 원작은 7시간 가량 된다고 하는데
흐름을 보면 각 장 별로 2시간정도는 충분히 끌고 갈법한 매력이 있다.
조금은 야하지만 어느정도 절제해놨는데 체홉이 19살때 썼다고 하는데 그 시대에 성년이 막 된 청년의 세계엔
이런 난잡함이 많이 보였던걸까? 아니면 사회의 불만때문에 악의적으로 사회를 과장하고 부정적으로 그려낸것일까

전체적으로 이 곳에서 벌어지는 대부분은 매우 부정적으로 그려진다.
결혼한지 얼마 안된 부인이 과거 남자와 바람을 피고 성교는 그다지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풍토랄까
다르게보면 약간은 냉정하게 보는 인간 사회일수 있다. 오히려 한국은 엄숙주의(Rigorism)라고 해야 할지
불필요할정도로 경계와 절제를 하고 지적질을 하고 있다.

그렇다고 자유분방해보이도록 그려지지도 않는다. 약간은 퇴폐적인 늬앙스가 풍기는데
이것이 연출의 의도인지 체홉의 의도인지 원작을 읽어보지 않아서 궁금함이 커진다.

등장인물들은 매우 다양하게 표현되는데 전체적으론 형태만 다를 성적 판타지들을 만들어간다.
눈에 띄는 이상한 행위가 있다곤 할 수 없지만 은연중 비추는 욕망의 표현양식은 각기 다른 모습을 띈다.
원작은 3배정도 더 긴 분량인데 그렇다고 더 노골적이며 적나라하게 저들의 세계를 그려갔을까

그 중엔 주인공같기도 한 학교 선생(플라토노프)이 있는데 모든 여자를 건든다고 할까
이 시대엔 이정도는 무마되는 시대였던거 같긴한데 현대 감각과는 확실히 다른 면이 있다.
그리고 모든 인물들은 어떤 굴곡이 있어보이지만 나타나진 않는다.
현대사회와 가장 잘 어울리는 사람은 안나정도랄까? 돈도 신경쓰면서 사랑과 약간의 야망도 있어보이는
연극상으론 플라토노프와 비슷한 질나쁜 캐릭터처럼 묘사되지만 제일 인간답고 신경 쓰이는 인물이다.

전제적으로 훌륭하고 지루함없이 뛰어한 전개를 보여주기때문에 아무꺼리낌 없이 볼수 있었다.
다만 체홉 작품을 공연시간 길이에 비하여 지루함이 전혀 느껴지지 않을정도로 훌륭하게 연출되고 공연하지만
다른작품 같은 배우라는것은 뭐랄까. 캐릭터가 오버랩된다고 할까.
아예 극장과 극단이 다르면 예전에 봤던 배우라도 겹치는 느낌이 덜한데
여기는 늘 같은 곳, 같은 극장, 배우들의 절반 이상은 이전 연극에서 봤던 사람들 그리고 시대도 비슷하고(작가가 같으니)
감독도 같으니 더욱더 뭔가 겹치는 느낌이 든다. 

특히 이번 연극의 대사는 그 시대이고 배경은 현대같이 각색되어 그려진다.
(그 시대 대사가 어땠을까.. 러시아는 독일, 영국 문학과는 또 다를텐데.)
로미오와 줄리엣을 현대에 맞게 재해석 해서 대사들을 현대화 한게 아니라
멋진 슈트를 입혀놓고 대사는 중세시대 세익스피어 원작을 읊고 있다고 생각해보라..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오~ 쭐리엣~" 어쩌구 저쩌구 이딴식으로 말이다.

그래서 귀와 눈이 서로 따로 논다고 할까? 각각의 인물은 너무 매력적이지만 이질감 또한 크다.
차라리 그 시대를 그대로 그려넣던가 대사를 현대적으로 각색하던가
과거와 현대 두 시대를 섞어서 이상한 꿀꿀이 죽이 된 기분이다.

그리고 내용이 너무 점핑한다고 할지.. 7시간이나 되는 긴 내용을 140분정도로 줄여놨으니 그러겠지만
너무 듬성듬성 나무토막 마냥 잘라놓은거 같이 노래방에서 간주점프를 한거 같은 기분이 든다.
좀더 긴밀하고 내밀하게 그리고 끈적거리면서도 끊임없는 밀땅이 있을거 같은데
결과만 툭!툭! 내던져지는거 같아서 좀 딱딱해진다.

왜  Fatherless(아빠없음?)란 제목이 붙은걸까? 플라토노프만 특이한것도 아니고
이 극은 모두 각각 특이한 매력을 지니고 있다. 체홉이 제목을 안붙인('제목 없는 희곡') 이유가 이것때문 아니었을까
어떤것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성을 표현하기 위해, 체홉 자신의 세계를 제3자가 가늠할 수 없도록 말이다. 너무 거창한가?
이나이때는 중2병이 아직 없어지지 않을때긴 한데..

19살에 어떻게 이런 희곡을 쓸수 있는건지? 피카소도 청소년때 구상화 실력이 이미 만랩이긴 했지만
희곡은 자아를 버리고 제3자의 눈으로 세계를 봐야 하는거 아닌가? 젊었을땐 이런 시각을 갖는다는게 쉽지 않을거 같은데.
원작 텍스트가 궁금해지는 훌륭한 연극이었다.
약간은 중2병스러운 하렘장르같은(일본 애니에 보면 모든 여자가 자신을 좋아하는?) 냄새도 풍기지만

재미있고 코딱지 만큼 야함. 그러니 문닫기전에 보길 추천함

출연 : 주현주, 김원경, 진민범, 김세윤, 정유림, 박준홍, 박장용, 성가인, 나신영, 정승현, 강누리, 김현서

'연극.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 -통속소설이 머 어때서?!-  (0) 2024.08.24
연극 -화전가-  (0) 2024.08.17
연극 -사이클(Cycle)-  (0) 2024.08.10
연극 -비밀의 화원-  (0) 2024.08.03
연극 -숲귀신-  (0) 2024.07.27
Posted by 시세상
다이어리2024. 8. 13. 08:01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이런 애들은 모두 #친일매국노 #토착왜구
#뉴라이트 라 하지? 그냥 매국노라 하면 편할것을..
#광복회 는 가급적 매국노는 매국노라 해주시길

'다이어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을 마시니 조금은 슬픈데  (0) 2025.02.25
이런일도 있구나.  (0) 2024.08.27
서울시는 왜 이러는걸까...  (0) 2024.08.03
그때가 그리운가?  (0) 2024.07.21
왠지 실수한거 같다.  (0) 2021.04.20
Posted by 시세상
연극.공연2024. 8. 10. 21:05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기분탓일까. 입추가 지나서일까? 습도가 조금은 누그러든거 같은데
아직은 8월초, 휴가 피크는 다음주까지 이어질테니 아직 여름기세가 꺾였다고 하기엔 무리가 있겠지
그래서 연극시간을 왠만하면 맞춰서 나왔다. 더위먹지 않으려고

사이클? 윤회같은 늬앙스긴 한데
피에터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하지만 정작 내용이 그와는 거리가 멀어보인다.
마리아가 예수의 죽음을 슬퍼하는 피에타 조각, 그림 등에서 어떻게 이런 호러물을 떠올렸다는 것일까.

종교적 색채 또한 그다지 느껴지지 않는다. 하나님게 기도한다고 기독교적 색채가 있다고 하기에도 무리가 있고
기독교에서 이런 귀신같은게 있지도 않을뿐더러 이것은 토테미즘, 샤머니즘적 성향이 훨씬 강한
지극히 동양적 사고에서 기인한것으로 밖엔 보여지지 않는다. 이러한것을 왜 피에타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하는것일까
작가의 의도를 명확히 알수 없지만
윤회 또는 카르마(업보)라고 해야 할지, 스스로 지은 죄가 연이어 다음세대까지 이어져간다.
그렇지만 인간의 지극히 당연한 생존본능을 외면했다고 해야 할지 무시한다고 할지, 김기덕 감독의 피에타나 미켈란젤로의 피에타나
그 어떤것에도 영향을 받지 않은 그냥 그런 한국식 저렴한 호러물 스럽다.

남량특선으로 좀 무섭게 만들던가 아니면 예수와 마리아의 모자 간의 갈등을 좀 깊이 묘사하면 느낌이 달랐을까
그냥 인간의 생존 본능에 치우친 그렇고 그런 삼류 내용을 한시간 딱 맞춘 짧디 짧은 연극으로 표현한다.

뭔가 의무적으로 뽑아냈어야 하는 작품이었을까.

전체적으로 엉성하고 별다른 감동도 없다.
짧은 시간 공연이라면 자극적이면서 강렬하게 구성해서 기억에 좀 남도록 설정하는데
이 연극은 강렬하지도 않고 계절특성상 호러물이라 하기에도 질이 떨어지고 내용의 깊이또한 별볼일 없다.

좀더 깊이 생각해보더라도 귀찮아서 대충 표면적인것만 어떻게든 떼워보겠다는 느낌만 강하다.

배우들의 연기도 뭔가 좀 어설픈데 연출이 의도하는대로 표현못할 배우들이 아님에도 뭔가 어색함이 있다는것은
연출진들의 게으름이 간접적으로 엿보인다.

왜 저랬을까?

오늘은 다들 지인들이 많이 온듯한 기분이긴 한데( 연극이 재미있다는 소문을 듣고 온 관람객으로는 결코 보이지 않음)
다들 이상행동을 하는 사람이 거의 없었지만
분명히 웃기엔 무리가 있는 장면에서 단지 표현이 좀 그렇다고 웃는 이들이 있었다는것은
객석을 채워야 해서 지인이라고 무조건 부른다는게 과연 연극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의문을 품게 만들게 한다.
(전체 맹락과 관계 없는 순간적인 표현만 놓고 반응한다는 것은 코미디도 아니고 옳바른 관람인것인가)

전체적인 흐름은 이처럼 뭔가 엉성하고 납득되지 않으며 이것저것 섞어놓았지만 내용이 들어오지 않는 연극이었다.

한시간짜리 연극이라면 그리고 여름이고 조금은 괴기스럽게 만들려고 했다면 충분히 가능했을거 같은데
이도저도 아닌 극이 되어 아쉬움이 컸다. 여름용으로 딱 적당한 주제였는데....

출연 : 최지은, 이영숙, 황지훈, 윤상호, 전민재

'연극.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 -화전가-  (0) 2024.08.17
연극 -파더레스(Fatherless)-  (1) 2024.08.15
연극 -비밀의 화원-  (0) 2024.08.03
연극 -숲귀신-  (0) 2024.07.27
연극 -당연한 바깥-  (0) 2024.07.20
Posted by 시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