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리2018. 1. 22. 01:02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문득 인터넷에서 무슨맛인지 궁금하다는 문구가 떠올라 사왔다가
좀전에 생각나서 바로 두개 끓여서 먹는데

이게 무슨 맛일까?
비주얼은 팥죽스러운데 맛은 밍밍한거 같기도 하고

라면의 개운한 맛은 없다.
그냥 팥죽에 라면 면을 넣은거 같으나
맛이 이상한 팥죽에 넣은 국수..(새알같은 기분이 나는거 같기도 하고 아닌거 같기도 하고)

'다이어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리석은 놈  (0) 2018.02.09
선물 받은 한라봉  (0) 2018.02.04
따뜻할줄 알았는데..  (0) 2018.01.11
적당히 놀았던 한해  (0) 2017.12.31
연말 혜화에서 명동까지..  (0) 2017.12.31
Posted by 시세상
연극.공연2018. 1. 21. 00:27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단조로운 생활을 하다보니 겨울이 가고 봄이 오고 있는지
다시 겨울이 오는지 모르겠다.
예전엔 하루 하루 변화에 예민하게 반응한거 같은데
언제부터이나 겨울이니 추운거고 여름이니 더운거고 때되면 날 풀리고 때되면 두꺼운 이불을 준비한다.
나 할거나 제대로 할 수 있으며 살면 그뿐이겠거니 싶은게 뭘 해도 재미없고 뭘 해도 재미있다.

인지도 높은 배우가 나오는 연극은 사람도 많고 가격도 비싸고 생각보다 재미가 없다.
대부분 티켓파워만 생각한 기획들이 많다보니 불필요하게 큰 무대를 쓴다거나
별 내용도 아닌것을 대단한것인냥 떠벌리다보니
한마디로 소문난집에 먹을거 없는 상황

그러다보니 포스터에 낯익은 얼굴이 보이면 안끌린다.
(막상 보게 되면 TV에서나 보던 사람을 실제로 보게 되니 좀 신기하게 보지만
정극만 하던 사람들과는 표현 방법도 좀 다르다보니)

어찌됬던 몇일 안남은 연극 몇개를 놓고 저울질 하다가 그냥 예매
(대충 예매할거면서 고민을 하는지.. 실패한다고 앞으로 연극을 안볼것도 아니고)

수많은 선입견을 없앨 수 있는 방법은 또다른 선입견을 씌우면 될뿐이다.
(덧씌어진다고 검게 되지 않으니 계속 씌우고 또 씌우면서 살면 됨)

다소 먼 곳의 자리를 받았는데-그리 늦게 간것도 아니고 예매를 늦게 한것도 아닌데 왜 이런 뒷자리를 준걸까?-
극장이 제법 크고 좀 뒷자리다보니 배우들의 표정들이 잘 보이진 않는다.
입소문을 탄것인지 수많은 중년 부부들로 객석이 가득차서 여기저기서 웅성 웅성
연극도중에 전화를 멋지게(?) 받는 사람도 있고
(관객으로서의 예의를 갖출 필요는 모르겠고 다른 관객들을 위해 대인에 대한 예의는 좀 갖춰야 하지 않나?)
공연도중에 자리를 옮겨다니고 관계자인지 후레쉬로 자리를 이동시켜주는 사람도 있다.
(어둡기때문에 후레쉬가 필요하긴 한데 어두운 관객석에 후레쉬를 켜대면 연극에 집중을 하지 말란 소린가?)

초반 진행이 좀 이상하긴 했지만 어느정도 안정화 된 후부턴 제대로 집중을 할 수 있었다.

이 연극은 기승전결 뭐 그런거 없다.
처음부터 끝까지 넋두리로 시작해서 넋두리로 끝난다.
넋두리 내용의 쌔기에 따라 눈물이 찔끔 할때도 있고 많이 웃을때도 있고

우리 일상을 조금 과장된 액션으로 무장된 연극이다보니
한귀로 듣고 한귀로 흘려도 되고(이곳 아니라도 늘 듣고 보는 일상들이니)
깊게 생각해보려 한다면 빠져들수도 있다. 말그대로 현실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약간 각색한것들이니

연극을 보면서 참 신기했던게
저 상황에서 나는 너무 슬프던데 많은 중년 부부들을 큰 소리를 웃는다.
내가 결혼을 안해서 상황을 이해 못하는 것인지
그들은 이미 그런 단계는 모두 초월한것인지
그 상황이 다른 사람 얘기처럼 느껴져서 웃는것인지 도무지 알 수 없는 반응이다.

순간 칠흑같은 무거운 침묵이 흐르던 시간이 없던것도 아니었지만
모르겠다. 왜 이들은 웃고 있는것인지..
어쩌면 웃음의 관성을 꺽기 싫었는지도 모르겠다.

엔딩은 TV드라마들이 갑자기 모든 상황을 종결시키듯 짧게 극으로 치닫다가 모든것을 해결한다.
아니 그냥 처음으로 돌아간다.
(몇몇 고민거리는 해소되는거 같지만 그래봐야 다른 어려움이 찾아올뿐)

내용은 시시콜콜하지만
그 표현은 끊임없이 웃게 하고, 잠깐 침묵하게 만들고, 잠시 눈시울을 적신다.
100분이 넘는 긴 연극임에도 크게 지루함 없고(남얘기는 아무리 들어도 재미난 법이니)

끝난 후 관객석에 조명이 켜졌을때 관객들의 가벼운 기운이 느껴진다.
이정도면 제법 잘 만들어진게 아닐까?

-추신-
여러곳에서 예매가 가능한데
유독 인터파크에서만 자리 선택이 가능함
얘들이 이상한 정책을 펼치던데 각 판매처마다 할인율이 조금씩 다르지만
3,6,9인 티켓을 파는곳이 있고 인터파크는 3,4,5인 티켓을 판다.
이렇다면 좌석 선택이 가능한 인터파크가 훨씬 유리하다.
(1인티켓은 인터파크는 할인이 없음)

저번주도 그렇고 이번주도 그렇고 왜 이런 판매를 하는지 모르겠다.

'연극.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 -빗소리 몽환도-  (0) 2018.02.04
연극 -아버지(Fadren)-  (0) 2018.01.27
연극 -가벼운 스님들-  (0) 2018.01.14
연극 -선달 배비장-  (0) 2018.01.07
연극 -에덴미용실-  (0) 2017.12.31
Posted by 시세상
전시2018. 1. 17. 23:16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음... 미술관 치곤 외형이 뭐 이렇게 곽 스타일로 되어 있는지...

티켓으로 몇일을 계속 관람할수가 있다.
하지만 티켓만 가지고 있으면 안되고
내부에서 셀카 찍은 사진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고 한다

집하고 가까워서 다시 방문해도 될거 같긴 하지만
전시된 것들이 실생활용으로 팔리는 것들일텐데 만지거나 앉을수 없다니
오브제들 같지만 의자류는 일반적으로 팔리는 생활용품들같은데 앉아볼수 그다지..
(딱 한곳 앉아서 자신의 사진을 찍게 해놓은 거울 잔뜩 있는 방이 있는데 평일인데 줄이 엄청 길어서 포기)

어떤느낌으론 제품 전시장같기도 하다.(비싼 브랜드 매장들은 이곳 못지 않게 화려하고 때론 더 아름답기도)


이것과 거의 비슷한 깨끗한 차를 반포에서 어떤 노인이 타고다니는걸 봤는데
클래식 차 치곤 너무 깨끗하고 그 노인도 멋졌던거 같지만 아쉽게도 사진을 못 찍어서
구체적으론 기억나지 않는다.
차란것이 순수하게 이동수단이란것을 탈피하면 스포츠가 되고 그 자체로 예술품도 되는것이니
어떻게 관리하냐에 따라선 괜찮은 물건이 아닐수 없다. 하지만 나는 차가 없다.


입구에서부터 수 많은 사람들의 사진 촬영이 시작 된다.
셀카..
조명 좋고 전반적으로 빛들이 화려한 플라스틱들에 반사되어 멋진 배경이 되다보니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사진을 많이 찍는다.

이 전시장은 이런 전시장인가보다. 플라스틱 환타지는 내가 있는 풍경으로 만들어주는 세계

춥던 날이 갑자기 바람 없고 날이 갑자기 따뜻해지면 날이 이렇게 뿌옇게 되던데
이런걸 미세먼지라 해야 하나?
그리 텁텁하지 않던데

습기와 자동차 매연이 서로 달라붙어있겠지만 날이 따뜻해서..

참여 작가 리스트
론 아라드 RonArad, 세르지 오아스티 SergioAsti, 가에 아울렌티 Gae Aulenti, 올라프 본 보어 Olaf Von Bohr,
아킬레 카스틸리오니 Achille Castiglioni, 피에르 지아코모 카스틸리오니 Pier Giacomo Castiglioni,
센트로카파 Centrokappa, 지노 콜롬비니 GinoColombini, 조에 세자르 콜롬보 Joe Cesare Colombo,
안나 카스텔리 페리에리 Anna Castelli Ferrieri, 프런트 FRONT, 이그나치오 가르델라 Ignazio Gardella,
이사오 호소에 Isao Hosoe, 페루치오 라비아니 Ferruccio Laviani, 비코 마지스트레티 Vico Magistretti,
알베르토 메다 Alberto Meda, 넨도 Nendo, 루도비카 Ludovica, 로베르토 팔롬바 Roberto Palomba,
유제니 퀴틀레 Eugeni Quitllet, 프랑코 라기 Franco Raggi, 파올로 리자토 PaoloRizzatto, 리차드 쉐퍼 Richard Sapper,
지오토 스토피노 Giotto Stoppino, 도쿠진 요시오카 Tokujin Yoshioka, 마르코 자누소 MarcoZanuso

 

Posted by 시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