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일이 있어서 반차내서 볼일 보고 근처 예전당에서 크게 한다는 피카소전 소문난잔치에 먹을거 없다고 사진 촬영 못하게 할때부터 알아봤음 한시간도 볼거리가 안됨 볼게 없으니 테마별 쓸모없는 텍스트만 더럽게 엄청많음 제발 쓰레기를 가져와서 수백점 이지랄은 하지말자 그리고 미술관에서 줄서서 보지 말고 설렁설렁 걸으며 아무거나 막보자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아침 새벽에 비가 와서 시원하게 잠을 잤지만 나올때 비가오면 우산을 써야 해서 불편하게 생각하는것은 나의 이중성일거다.
얼간이 행진곡이란 제목에서 풍기는 풍자스러움은 이미 수많은 연극, 영화에서 나온 늬앙스가 아닐지 그런데 초등학생으로 보이는 여러명이 보인다. 미취학 아동들은 입장이 불가하지만 초등학생들은 미취학아동들이 아니니 관계없겠지 엄청나게 빠른 대사들을 저들이 알아들을거라 생각한건지. 저들을 입장시키면 저들은 저들대로 곤욕이고 그 짜증을 다른 관객이 듣게 되니 곤욕이다 요즘 연극계에 관객이 없어서 사라지는 극단이 많더라도 언발에 오줌싸서 발을 잘라내게 하는 일이 없도록 했으면 좋겠다.
그리고 티켓에 좌석번호를 적어놓고 자유석이라고 말을 하니 누구는 아무곳이나 앉고 누구는 적혀있는 좌석을 앉으려해서 혼란만 가중되던데 이런것 조차도 예상 못하고 진행하는것은 좀 그렇지 않은가. 확신이 없을땐 한가지만 하자. 좌석번호를 티켓에 적고 지정석이라 하던가 아예 적지 말고 자유석이라고 하던가..
코믹극이라 하기엔 템포가 너무 빠르고 언어유희라고 하기에도 대사들의 품질이 뛰어나진 않다. 그러나 풍자극스럽긴 하다.
전체적인 배경같은거나 패러디? 뭐 그런건 조금 볼만하지만 코믹극이라면 언제 터질지 모르는 긴장속에사 예상치 못하게 터져주는 맛이 있어야 하지만 그러지 않는다. 말로 웃기는 것도 좀 그렇고 몸으로도 웃기는 것도 좀 그런것이 작가 의도대로 연출되고 있는것인지 한편으론 좀 의아하다.
배우들의 연기는 뛰어나지만 전체적인 흐름이 엉성하고 앞뒤가 좀 앉맞으며 세밀함이 떨어지는거 같다.
초반엔 그래도 좀 괜찮았는데 중반부부터 졸음이 밀려올정도로 비슷한 전개는..
나는 전방에 파견나갔던 병사가 막판에 왕과 대면해서 하는 얘기가 고래를 잡아왔다는 얘기를 할줄 알았는데 이부분에서 예측이 어긋났지만 아무런 흥미도 생겨나지 않을만큼 그 끝이 예상안되도 새로움이나 신선함이라곤 찾을수 없을만큼의 진부함이 느껴진다.
앞서 말했든 배우들의 연기는 전반적으로 매우 뛰어나서 어색함없이 모든 상황에서 부드럽게 흘러간다. 훌륭한 표현이나 엄청난 대사량도 막힘이 없다. (이런 대사를 외워서 한다는 것이 가능한건지)
대중들이 생각하는 관리자들의 모습이 얼마나 허상인가를 꼬집기엔 표현이 가벼워 아쉽고 가볍게 보기엔 너무 많고 빠른 대사들때문에 쉽게 접근하기에도 좋지 않았지만 그럼에도 극장을 나올때의 기분이 적당히 괜찮았다는것은 제법 볼만했다는 건가.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이게 얼마만인가 3월 초를 마지막으로 개인적인 일로 잠시 뒤로 미루어뒀던 취미를 일이 약간 마무리 되어 다시 잇는다. 하지만 날이 엄청 뜨겁다.
아침 일찍나서 미술관도 가고 싶었지만 코로나19로 관람예약을 하지 않으면 공립은 관람하기 쉽지 않다. 일반 갤러리를 들러도 되나 아무튼 콘디션도 별로인듯 하여 느긋하게 종각에 내려서 혜화동까지 걸어가는정도
무대에서 죽을란다 라는 무죽 페스티벌은 일단 어느정도 경력이 있는 분들이 나오기때문에 배우분들의 연기력은 매우 뛰어나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연극이 무조건 재미있다는 것은 아니다.
아마도 이 연극이 그에 해당하는거 같다. 어떤 구세주 같은 존재가 나와서 배우들을 구원한다 같은 내용 그러나 연극계 모두를 구원한다거나가 아니라 한사람 정도? 이것 저것 갖춘것이 많은 신화속 인물같은 존재로 내용 전개 자체가 좀 구태하다고 해야 할지 아무튼 산뜻한 맛은 없다. 고전처럼 암울하거나 묵직하거나 침침한것도 아니다.
전체적으로 산만함이 있고 대사 전달이 좀 매끄럽지 않다는 것도 그리 달갑진 않다. 내용에는 인간적인 치졸함이 보여 일부분은 느낌이 있었지만 전체적으론 와닿진 않는다. 그렇지만 저들의 하소연을 듣다보면 'CLOSE'라는 푯말이 붙어있는 폐업한 가게가 떠올라서 연극계의 현실과 코로나 여파등이 저들을 힘겹게 하는 안타까움도 느껴진다.
한 사람 인생에서 이렇게 대유행하는 전염병이 한두번정도는 반드시 생기는거 같은데 이번 처럼 2년에 걸쳐서 지속되는 경우가 있었는지도 모르겠고 아직도 진행중이라는 것은 매우 특이하다. 영상30도씨가 넘는 무더위에도 마스크를 착용안한 사람을 볼 수 없는 거리 풍경만큼이나 전방위적으로 많은 산업분야가 타격을 받고 그 속에 있는 노동자들의 고통이 'CLOSE'라는 한 단어와 연극속 환상의 인물 여자L을 쫓는 배우들의 간절함으로 겹쳐진다.
그런데 연극계는 호황기가 있었나? 영화는 한국영화가 부흥하는 시기가 있는거 같은데 연극은 느껴보질 못했다. 인지도 높은 TV배우나 가수같은 사람들이 출연하면 관객이 몰리지만 그 외에는 맛난걸 먹어보겠다고 줄지어 기다리는 흔한 풍경을 연극계에선 보기 어렵다.
왜 '배우시장'이란 제못을 붙였을까. 여자L같은 사람들이 오디션을 통해서 배우를 선발하는 것은 오랜 전통이고 당연한 절차인데 예전 '인간시장'처럼 부정적 의미의 제목을 달아놓은것은 현실을 비난하는건지 비판하는건지 투정인지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