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공연2023. 1. 23. 20:21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설 연휴도 끝이 보인다. 연휴랄것도 없지만
기억력이 더 안좋아졌는지 엊그제가 크리스마스같은데 벌써 1월 말이라니
나이 먹을수록 시간이 점점 빨리 간다던데 천살 먹은 산신령은 하루가 1초같을지
갓난아기는 하루가 1년처럼 더딜까

아무튼 예약해놓은 연극은 배우가 코로나에 걸려 취소한다고 통보를 받았지만 코로나때문인지
관객이 없어서인지 알수 없다.
어제 밤에 내가 예매할때 단 한명도 예매하지 않았기때문에 취소될수도 있겠단 생각을 했기때문에
더욱더 저들의 변명이 핑계처럼 들려오지만 막판 코로나는 조심 또 조심

그런데 이 연극은 거의 만석이다. 왜일까..
연극 구성이 형편없고 무대도 별볼일 없는데
내용은 제법 괜찮지만 산만하고 무대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해서 배우들에게 집중하기가 어렵다.

특히 나는 거의 끝 자리에 앉아서 배우들 옆 모습만 줄기차게 봤을뿐이다.
무대를 좌우로 엄청 길게 세팅 한 이유는 뭘까.. 정말 빙신같은 발상이 아닐수 없다.
관객석과 무대가 부채꼴로 생긴것도 아닌데..

그리고 안보이는 자리는 팔지를 말던가 가격을 낮추던가하자
좌우로 쭉 찢어진 무대 가장 가장자리 앞자리에 앉았는데
(무대가 이따위로 생겼을줄 몰라서 앞자리 남은 한석을 샀는데 이 모양)
이토록 안보일줄 알았다면 돈줄테니 보라고 해도 안봤을것이다.

그리고 왠 프로젝터와 쓸모없는 모니터는 그렇게 틀어대는지..(요즘시대 치고 화질도 똥)
그럴노력 있으면 대사전달에 좀더 신경좀 쓰지. 자리때문에 연극을 제대로 볼수 없더라도
저들의 대사가 잘 들리면 내용 특성상 흥미진진했을텐데 웅얼웅얼웅얼..

그런데 이 연극에 왜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왔을까?
종교 냄새가 물씬 풍겨서일까?
유명배우가 감독해일까? 배우추상미나 배우이석준(이 사람은 누구지?)은 구경도 못했는데..

재미요소가 다분하지만 이상한 거리감이 느껴진다. 불필요한 카메라와 모니터들 그리고 정말 짜증나는 프로젝터 스크린
연극 보러 온 관객에겐 연극만을 보여줘라. 꼭 실력 안되는 놈들이 온갖 쓸모없는 기교로 현혹하려 드는데 그러지좀 말고

이런 이상한짓들 빼면 공연시간이 1시간 10분정도 되려나..
생각할 틈 없이 자기들끼리만 떠들다가 금세 끝난다.
(인간의 내면을 말로서 다룰때는 좀더 긴 호흡이 필요할거 같은데)

깊이있게 연극처럼 다뤘다면 훌륭한 연극이었을텐데
거지같은 자리와 이상한 무대, 정신없는 구성, 엄청 짧은 공연시간 등
모든게 6만원주고 보기엔 졸라 아까운 연극이었다.

스크루테이프가 고민하던 또는 가르치던 인간을 타락시키려는 것보다
이 연극에 이토록 많은 관객이 왜 왔는지가 더 궁금하다.

출연 : 정의욱, 이은주, 김동민

'연극.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 -상운동 대복상회-  (0) 2023.01.29
연극 -독-  (0) 2023.01.24
공연 -새날-  (0) 2023.01.21
연극 -넓은 하늘의 무지개를 보면 내 마음은 춤춘다-  (0) 2023.01.07
연극 -게릴라씨어터-  (0) 2022.12.25
Posted by 시세상
연극.공연2023. 1. 21. 21:06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설연휴지만 그다지 연휴같은 느낌도 들지 않고 엄청 춥다.
하지만 설날 무렵 하는 이 공연은 기다려진다. 비록 이번이 두번째 보는거지만. ^_^

흥겹고 아름다우며 멋있다.
그러나 조금 짧다. 한 70분정도 되는 공연이던가? 이정도면 짧은거 아닌가

총 7가지로 구성된 무용 공연인데 말로 표현하기 참 어려운 면이 있다.
이상할정도로 움직임을 절제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저런 춤을 오래전 조선시대에 추었다고?
사람들이 추기엔 쉽지 않고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주기엔 또 너무 고급스럽지 않은가..

현대에 맞춰 새롭게 탄생한 것들이 대부분이겠으나 그 뼈대는 오래전부터 내려온것들일텐데
일제강점기시대에 무엇이 끊겼는지 저들과 알 수 없는 두터운 벽이 느껴진다.

지금시대와 그전시대를 무엇이 갈라놓았길래 저들의 저 고귀함이 이렇게 낯설게 느껴지는 걸까

하지만 빠져들기 시작하면 가슴깊숙한 곳에서 독특한 감동이 올라와 벅참 마져느껴진다. 그러나
이 감정이 어디에서 기인한것인지 알수 없기때문에 답답함도 함께 다가온다.

한국 고유의 무용은 인간 원초적인 무엇을 건드는지
조용한 움직임들이 무한한 깊이를 선사하지만 상상을 허하지도 않고
있는 그대로 바라보게만 하는 욕심쟁이같다.

쉽다고 말하기엔 무엇인지 모르겠고 어렵다고 말하기엔 벅찬 감동을 억누를수 없으니
다음 공연을 묵묵히 기다리는수밖에...

출연 : 국립무용단

'연극.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 -독-  (0) 2023.01.24
연극 -스크루테이프-  (0) 2023.01.23
연극 -넓은 하늘의 무지개를 보면 내 마음은 춤춘다-  (0) 2023.01.07
연극 -게릴라씨어터-  (0) 2022.12.25
연극 -탈주자-  (0) 2022.12.18
Posted by 시세상
연극.공연2023. 1. 7. 21:09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연말이 연휴가 아닌 토요일과 일요일이라는것은 묘한 섭섭함이 앞선다.
대체휴일이 있는것도 아니고

큰 극장에서 티켓 파워 있는 배우들이 나오는 공연은 왠만해서는 잘 안보게 되지만
신구선생께서 연세도 많으시니 이럴때 아니면 더이상 못 볼수도 있어서
보게 되었지만 별다른 기대가 되는 연극은 아니었다.

포스터에서 풍기는 시시콜콜함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전개
하지만 극장은 거의 만석으로 관객이 가득차있다.

소극장 연극은 항상 썰렁한데 인지도 높은 배우들의 파워는
연극 내용과는 관계가 없어보여 씁쓸함만이 남는다.

중후반부터 극단적이고 짜증나는 신파.
일순간에 모든것이 해결되고 평화가 찾아온다.

어쩜 이리도 곰팡내 물씬 풍기는 내용을 선택하셨을까..
차라리 고전 연극을 하시지..

아무튼 연극은 중반까지만 담백하다가 막판엔 그냥 나와버리고 싶을정도로
짜증과 한숨만이 나오는 꽤나 형편없는 연극이다.

넓고 훌륭한 무대, 각종 뛰어난 장치들, 안락한 관객석, 명품 배우분들 이 모든 것이 아까운 연극이었다.

억지로 눈물 짜내는 저질 신파는 이제 좀 적당히 해주자..

바로 옆 하늘극장에서는 안숙선 명창께서 연말 판소리를 하고 계실것을 생각하니 더욱더 연극에 아쉬움이 남는다.

출연 : 신구, 손병호, 이시강, 김성철, 배현아, 조성국, 황세원

'연극.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 -스크루테이프-  (0) 2023.01.23
공연 -새날-  (0) 2023.01.21
연극 -게릴라씨어터-  (0) 2022.12.25
연극 -탈주자-  (0) 2022.12.18
연극 -우리읍내 Our Town-  (0) 2022.12.04
Posted by 시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