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공연2018. 10. 27. 10:08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예매할땐 전혀 생각하지 않았다가 티켓을 받으면서 알게 된 황당함
일본 연극이다.
일본 극만 가져와 한국인이 하는게 아니라 실제 일본인 배우, 일본인 스탭이 와서 한국어 자막을 틀어주는 실제 일본 연극

한국인이 하는 일본연극이야 여러번 봤지만
자막을 봐야 하는 연극이라니

자막을 읽는다는게 귀찮을거 같지만 일어를 모르니 감내하더라도
문제는 그 나라 문화를 모르는데 들어올것인가이다.

특이나 가부키를 현대에 맞게 바꿨다곤 하지만 가부키를 알리도 없고
(한국 판소리를 외국인이 보는 느낌일라나?)

공연은 시작되고 배우들은 역시나 모두 일본어로 공연 한다.
일본드라마를 보면 황당? 당황? 엉뚱?한 장면들이 나와서 웃음(실소?)을 자아내는데
이런 똑같은 황당함이 연극속에도 있을줄은..
말로 표현하긴 어렵지만 그들의 표현은 억세면서도 세밀하다.

그리고 드라마나 영화같은걸 보면 의외로 여자, 남자에 대한 벽이 없는 느낌이 들때가 있는데
이 연극 역시 남녀 역활은 있으나 그 벽이란게 느껴지지 않는다. 이게 일본만의 특징인지
한국이 유별난건지 모르겠으나 아무튼 남자라서? 여자라서? 이딴게 느껴지지 않는다.

현대물로 각색한것이라 유투브같은곳에서 가부키를 찾아보면 그것과는 많이 다르지만
아무튼 매력 넘치는 연극이 아닐 수 없다.

시원시원하고 느러지지 않고(일본 영화는 좀 느러지는 경향이 있던데)
강하거나 약하거나 부러지거나 휘어지는 그 구분이 확실하다.
너무 명확해서 좀 거부감이 들기도 하지만 그 개운함이란 한국 연극에선 맛보기 쉽지 않다.
(이런게 좋다 나쁘다는 아니고 좀 신선하다정도)

음향도 많은 공연을 했는지 완성도 높고(인기가 많은 극단인가?)
출연자가 많아도 전혀 어지럽지 않은 구성에 나이가 있어보이는 배우나 젊은 배우 모두 벽이 없어보인다.
(나이 많은 배우와 젊은 배우가 함께 출연 할 경우 이들간의 벽이 느껴지기 마련인데
외국 것들은 상대적으로 좀 적게 느껴짐. 한국은 특유의 나이로 서열를 규정하는 문화때문인지도 모르겠음)

일본을 가봐야 하는건가?
저들의 공연을 본토에서 봐봐야 무슨말을 하는지도 모를텐데
구글 번역이 하루빨리 좋아져서 나같은 외국어맹인도 마음놓고 공연을 즐길수 있게 해주면 좋으련만

가부키라는 공연 예술이 시작됬을 때부터 생겨난 현상이라는데
무대에 비하여 배우들은 과할정도로 화려하다.
이건 비단 이번만 그런게 아니라 일본극 대부분이 그래서 내용과 관계 없이 그 원색계열의 화려함은
일본사람들이 색약이 많은가?란 생각이 들 정도이다.

화려한 색채, 눈가에 힘이 들어갈정도 과한 액션, 작지 않은 극장이 울릴정도의 성량(소극장 일반 공연도 이런지 궁금함)
수시로 튀어나오는 의외성(코미디 요소랄까?) 응!? 응!? 이상함의 연속
문화를 이해 못해서 그럴수도 있긴 한데 얘들은 한국에 비하면 확실히 응어리를 터뜨리는 방법이 다른거 같다.

그래서 재미있다.
미간에 주름생길거 같긴 하지만 ^_^

그런데
오페라 같은것은 노래라서 그랬을까? 별로 신경안썼는데
이건 연극이라서 그런지 자막을 읽는게 무척이나 신경쓰인다.

자막은 무대 뒷쪽, 배우는 무대 앞쪽
자막을 보자니 배우 연기를 전혀 볼수 없고
배우를 보자니 뭐라 말하는지 모르겠고(내용을 이해해야만 재미난 연극은 아니지만)

신기하게 일본인 관객들이 제법 있던데 한국에서 사는 팬들인가
어떻게 알고 찾아온건지?
소극장 연극을 보면서 이렇게 많은(한 5명정도?) 외국인과 함께 연극을 봐본적이 있나?싶을정도로
독특한 광경이 아닐수없다.(대형 공연엔 깔린게 외국인들?)

일본을 가게 된다면 이런 각색한 공연은 꼭좀 봐봤으면 좋겠는데
한국인을 위해 한국어 자막을 트는 곳은 없을겠지만
일단 일본을 가야 뭐가 되도 되것지 ^_^;;;;

출연:사쿠라 이야스카즈, 고바야시 에레키, 노토 에시쓰케, 아오키 쿠리코, 후카우라 유타, 오사 마미, 모가미 레이카, 우지쯔구 사토시
    소가 유코, 오카 쿄코, 가쯔사 마나, 사토 모리카, 주도 겐키, 조지마 이케루, 다나다 미쯔루, 테쯔야, 키노시타 노조무
    櫻井保一, 小林エレキ, 能登英輔, 青木玖璃子, 深浦佑太, 長 麻美, 最上怜香, 氏次 啓, 曽我夕子, 岡 今日子, 木下望, 上總真奈,
    佐藤杜花, 重堂元樹, 城島イケル, 棚田満,テツヤ

 

Posted by 시세상
연극.공연2018. 10. 20. 23:43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아침부터 컴퓨터가 됬다가 죽었다가를 반복
왜 전날엔 멀쩡했던게 하룻밤이 지나면 문제가 생기는걸까?
밤새도록 무슨일이 있었던 것인지 알 수 없다.

대충 마무리 하고 혜화동을 나가는데 햇볕이 너무 뜨거워 얼굴이 화끈거린다.
그늘진곳에선 싸늘기운 역력한데.. 퍼런하늘 넘어 우주는 이보다 더 심하겠지

섬, 1945?
원작은 아톨 후가드의 아일랜드를 하시마섬(군함도)과 한국인으로 설정을 바꿔 각색하였다고 하니
그런가보다 할뿐 아일랜드를 모르니 이것이 그것이겠거니 하며 고민 없이 극장에 앉았는데
관객이 5명 남짓? 다행이도 출연자가 두명이라 이보단 많은 관객이지만
전 스탭들을 포함하면 그보다 관객이 적을거 같다.(이렇게 관객이 적은 연극을 하루 이틀 본건 아니지만 언제나 좀 민망함)

대학로소극장 축제라며 가격도 저렴하고 팜플렛도 만들어 나눠주던데
실제로 출품작이 그리 많지도 않고 기한도 짧은거 같다.(단 두곳에서 4편의 연극이 전부니 축제라는 말이 좀)

대학로 일대를 보면 극장에서 하는 이상한 이름들의 수많은 연극제가 있다.
이것들의 정체는 무엇일까?
왜 한 동내에 모여있는 이들은 서로 담합해서 연극제를 만들지 않고 이렇게 중구난방으로
아무도 모르는 연극제를 만들고 또 사라지는건가. 연극제를 하면 지원금이 나오나?

아무튼 작은 연극제면 어떻고 단막극이면 어떤가 연극이 재미있으면 그만이지

그런데 이 연극은 그다지 재미가 없다.

내용은 인권에 대한?(원작은 신권-자연-에 대항하는 권력에 항거하는 뭐 그런)
이것을 일제 강점기, 부당하게 처벌받는 두명의 죄수로 하여금 풀어내려 하지만

그것을 표현함에 있어 그 주체할수 없이 느린 호흡을 어떻게 해야 할지
시간이 멈춘듯한 적막감..

라디오에서 몇초간 아무말도 없으면 방송사고라 하는데 연극에서도 이런게 있었으면 좋겠다.

도데체 어두침침한 곳에서 아무말도 안하고 있으면 관객이 무엇을 느끼겠나?
고통,고뇌가 있으면 표정이나 행동이라도 좀 취하던가
가만히 고통을 되새겨봐야 관객은 아무런 감흥이 없다.

이런 구성이 처음부터 끝까지 지속된다.

참 오랜만에 느껴보는 늪같은 멈춰진 시간의 공간속

눈을 감고 명상을 할수도 없는 그 답답한 곳

직면한 이 상황을 어찌 할 수 없다면 몸부림을 치던가 비명이라도 지르던가
관객에 뭔가를 어필해야 할게 아니냐?

애니 주토피아의 나무늘보같은 호흡을 연극에서 보게 될 줄이야
(전체중 일부만 그런경우는 종종 있지만 이렇게 시종일관 지속되는경우 처음인듯 함)

연극의 전반적인 배경보단 차라리 감옥생활은 짧고 간결하고 강하게 구성하고
안티고네 재판을 좀더 심층적으로 묘사했더라면 어땠을지
조금만 풀어놓으면 훨씬 곱씹어 볼게 많은 주제

그리고 이 두명의 죄수는 군함도에 수감되어 있는 사유가 뭔가 좀 안맞는거 같기도 하다.

무엇을 보여주고자 한다면 숨쉴틈 없이 보여주거나
머리 아플정도로 생각하게 만들어주거나
눈알 핏줄이 터지도록 집중할수 있는 작품을 만들어줘야
그래야만 배우도 관객도 모두 만족하지 않겠나싶다.

Posted by 시세상
연극.공연2018. 10. 13. 21:52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이제 겨울 이불을 덥고 자도 전혀 이상할것 없는 늦가을 같은 날이 이어진다.
패딩을 입고 다니는 사람도 있고

하지만 집안에 있으면 아직은 속옷 차림만으로 있을만한 정도?

연극을 고른다는건 언제나 쉽지 않다.
때로는 한 1년치를 한번에 예매 해놓고 매주 여유있게 관람하고 싶은 생각도 들지만
그렇게 될수도 없고 그럴수 있더라도 그렇게까진 하고 싶지 않다.
귀찮더라도 매주 고르는 그 시간만큼은 약간은 기대심리도 생기는거 같고
극장에 앉아있을때도 설렘이 있다.(모르는것은 두려움 만큼이나 설렘도 함께 존재하니)

가격도 저렴하고 인지도 높은 배우들도 가끔(?) 나온다고 하지만
(단역을 맡아놓고 인지도 높다는 이유로 자신들 얼굴을 맨 앞에서 내놓는것은 관객몰이를 하기 위함이긴 할텐데
뭔가 좀 치사하다고 해야할지 좀 별로인 설정같다)
오늘은 이들이 나오진 않는다.
(이 사람들 스케쥴을 맞춰서 볼 만큼의 팬은 당연히 아님. 하지만 이들이 나오는 영화는 왠지 기대됨)

참고로 멀티캐스팅 공연들중 인지도 높은 배우가 출연하지 않는 날 보는게 공연 자체로는 훨씬 좋다.
왜냐면? 인간의 경쟁심은 이럴때 관객에겐 약이 된다고 할까?

아무튼 이 연극은 뭐 애초에 유명배우들의 배역 자체가 짧은 단역이라
나와도 그만이니 해당배우의 팬이 아니라면 일부러 맞춰 볼 필요는 없어보이고
유명배우들이 나오는 연극은 가격이 상대적으로 쌘편인데 이 연극은 그렇지 않다.
(작년인가?에도 김수로씨가 연출한건지 정확히 기억 안나지만 가격이 낮진 않던데 이번은 좀 특이함)

시대적 배경은 모르지만 독재정권,혁명군 그런 배경이지만
혁명군들의 심리를 중점적으로 묘사한다.

전체 줄거리는 비슷한 영화들과 다름 없지만 상황별 심리묘사는 대단하다.
초중반까지 그들의 설전은 깊은곳을 울리게 한다.(소극장연극에서 맛 볼 수 있는 심리묘사)

중후반부턴 지루함도 느껴진다.
(연극이란게 영화같이 비주얼을 강조 할 수 없으니 말로 대부분 해결하다보면 중후반부턴 급격히 피로감이 몰려옴)

원작을 읽어보지 않았지만 중후반부는 엄청 건너뛰어 듬성듬성 너덜너덜 해진 기분이 든다.
(징검다리를 건너듯. 물을 건너긴 했는데 어떻게 건너온거지는 힘만 들고 별 감흥은 없는)

그리고 다른 연극에선 잘 보기 힘든게 보이던데
TV배우를 많이 하던 사람들이 특히 유달리 보이는것으로 발성의 크기가 너무 작거나 너무 크거나
뭔가 연극톤이 아닌거 같은 기분이 든다.

맨 앞줄에 앉았음에도 어떤 대사는 웅얼웅얼, 소곤소곤, 어떤대사는 너무 질러대서 놀라기도 하고
이러면 대사 전달이 더럽게 안되는데 이들은 일관성 있게 밀어붙인다.

혁명군들 치곤 행동에서 힘이 느껴지지도 않고
어떤 배우는 발음도 좀 이상하고 성조도 좀 그렇고(성조는 배우 대부분이 좀 이상하던데 왜 그런지 모르겠음)

그럼에도 연극을 살리는것은 뛰어난 대사들이 아닌가 싶을정도다.
집중 초집중 또집중해서 주옥같은 저들의 고뇌실린 표현에 빠져있다보면 함께 눈물이 날정도지만
피로가 급증해서 금세 지쳐버린다.

참 좋은 연극인거 같은데.........
청소년들이 많이 봐주기 원하는 극인지 모르겠지만 그럴려면 일단은.............

참고로 무대가 크진 않으나 좌우로 좀 길게 되어 있고(뒤로는 깊지 않음)
앞자리와 무대의 거리가 짧으니 침 튀는걸 맞을수도 있고 고개를 좌우로 돌려가며 봐야 하기때문에
3~4줄 중간이 가장 좋을거 같은 극장이다.

맨 앞줄은 의자도 낮아서 앉아있는것도 편하지 않지만 이건 사람마다 다르니 넘기고

90분정도 극으로 설전이 있어봐야 얼마나 있겠냐만은 그런 부분만 집중해서 보면 충분히 재미를 만끽할수 있어보인다.

그리고 커튼콜때 인사를 한사람 한사람 하지좀 말자..
박수를 몇분간 계속 친다는건 쉽지 않다.

주인공들, 주변인물, 그외 인물정도의 3파트정도로만 나눠 인사하자.. 너무 힘들게 하지 말고..

출연:김정환, 정우연, 정상훈, 김결, 안두호, 김한결, 김사울, 박세원, 한민구

 

'연극.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 -시라나밋(白浪っ)-  (0) 2018.10.27
연극 -섬,1945-  (0) 2018.10.20
연극 -발코니 Text and Context-  (0) 2018.10.07
판소리완창 김정민의 흥보가 박록주제  (0) 2018.09.29
연극 -복제인간1001-  (0) 2018.09.29
Posted by 시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