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리2017. 12. 22. 23:1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한달만에 3박스를 먹어서
황달 걸린것 마냥 손은 노랗지만 끊임없이 귤을 까고 있으니

한달만에 3박스나? 라고 생각하다가도
하루 1kg밖에 안된다고 생각하니 제법 소식했구나 싶은게 좀더 먹고 싶지만

당분간은 사과나 먹어야지.. 젠장..
노랗게만 안되도 하루 종일 귤까먹으며 비둥거릴텐데..

'다이어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당히 놀았던 한해  (0) 2017.12.31
연말 혜화에서 명동까지..  (0) 2017.12.31
새로운 내 기억이 될 새로운 놈들  (0) 2017.11.01
전기좀 마음껏 썼으면 좋것네..  (0) 2017.10.27
자~ 출력을 시작해볼까?  (0) 2017.09.27
Posted by 시세상
연극.공연2017. 12. 17. 00:26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으~ 너무 춥다.
전날 술을 많이 먹지도 않았는데 몸살기운이 있었는지 콧물과 미열
이럴수록(?) 이불속에서 나오기 싫지만 움직여줘야지..

제목과 내용은 어떤 관계가 있는건지 아직도 모르겠다.
새벽이 오지 않는 밤?
위화도 회군 직전이었으니 백성들이 힘들었을시기를 감안한것인지
(엉망이기때문에 국가가 바뀌는것이라 사료를 보지 않아도 그 당시 어땠을지는)

도입은 긴 세월을 버틴 큰 나무 한그루 주변에서 벌어지는 일정도로 생각했는데
의외로 나무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의미부여를 억지로 하자면 인간들의 온갖 풍파를 지켜봐왔던 존재?
물론 SF나 환타지가 아니기때문에 이 나무는 끝까지 나무일뿐 변화는 없다.

다만 그 나무을 이용해서 자신의 생각을 계속 강요하는 사람들만 존재할뿐인데
이부분은 지극히 인간스럽다.
(한쪽은 자신들이 소홀히 해서 벌을 내렸다? 다른 한쪽은 성황신이 자신들을 버렸으니 더이상 이 신을 섬기지 말자?)

배경은 군역에서 피해 온 사람들이고 고작 2년 되었다는데
이곳에서 평생 살아온 사람처럼 성황신을 극진히 모실려 하던데
좀 억지스럽다. 토착민과 함께 살아가는것도 아니고 도망온 사람들이 그렇게 여유있게 삶을 누릴수 있나?

그리고 중간과 끝 타악기 연주가 나오는데
솔직히 이부분은 어떤 연계성이 있는지 모르겠다.
북연주(악기 이름을 모르겠음)가 주는 박진감은 있지만
이것이 어떤것을 상징하는지 모르겠다면 매우 생뚱맞다는것인데
(마지막엔 마지막이니 나오겠거나 했지만 중간은 잠시의 황당함이)

연극의 긴장감,박진감등에 사용되는 효과음으론 손색없지만
독립적인 연주는 무엇을 표현하고자 하는지

극 자체가 북소리처럼 강렬한것도 아니고
전쟁이 있던 시기였지지만 그렇다고 전쟁의 긴박감이 있는것도 아니고
(4명의 남매가 전쟁을 피해 살고 있는 곳이니 이런게 있을리 없음)

포스터나 시놉은
뭔가 엄청난 음모가 있는 과거의 어두운 한 면을 드러낸다거나?
아니면 귀신이 나온다거나?
기타등등 긴장하게 만들어놓고서
정작 내용은 웰컴 투 동막골 같은 내용에
제사용 음식을 먹었다고 사람을 죽여 제물로 쓴다는 퐝당한 소리나 하고
(토끼도 잡아오더만 그런거로 제물을 쓸 생각은 하지 않는건가?)

짧은 한 단락을 본거 같은 기분이랄까?
거대한 줄기에 살짝 삐져나온 잔가지정도?

붙잡힌 두 병사와의 대립관계에서도 별다른 긴장감도 없고 치밀한 느낌도 없다.
심지어 죽게 되는 상황에서 자포자기 하고 대들지도 않는다.
약간의 회유와 손쉬운 포기
(당장 자신들을 죽이겠다는데 이리도 태평할수 있다니)

조금은 더 텐션을 올려줬으면 좋겠는데..

'연극.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 -폭설-  (0) 2017.12.26
연극 -하녀들-  (0) 2017.12.24
연극 -보통 사람들-  (0) 2017.12.10
연극 -스테디 레인-  (0) 2017.12.03
연극 -분홍나비 프로젝트-  (0) 2017.11.26
Posted by 시세상
연극.공연2017. 12. 10. 01:2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소극장에서 7명이 나오는 연극과 영화 홀리데이중 보라고 하면 어떤것을 선택할까?

두가지 모두 내용은 같다고 봐도 될거 같은데.
(예전 지강헌의 탈주 사건을 토대로 만들어진 극)

영화는 최민수씨 부분은 많이 패러디될정도로 유명하다보니
비교하기엔 좀 그렇지만
난대없이 30년이나 지난 지금 또 공연하는 이유는 뭘까?

30년이나 지났음에도 유전무죄 무전유죄가 통용되고 있다는 소리가 아닐까?

근래 뉴스를 보면 형태만 조금 바꼈을뿐 부패한 권력들의 처벌은 기껏해여 5년 이하 형
이마져도 어느순간 풀려나있다.

사이코패스, 소시오패스들일 수 있어서 오래 있어야 하는데
말도 안되는 수많은 핑계로 빠져나온다.

한세대나 지난 지금 다시 이 내용을 연극 무대에 올린 이유겠지만
보는 이가 적다면 이것도 의미 없는거 아닌가?

이상적 사회를 지향하더라도 외면당하면 공염불일뿐..

관객의 감정을 추수릴 여유도 없이
자신들만 때려부수다가 끝이 난다.

관객이 느낄 수 있는 여유는 좀 남겨둬야 하는데.
배우가 모두 분노해버리면 관객은 어디서 분노해야 하는것인가?

울부짓는 배우의 연기를 남기고 싶어 만든것이 아닌
사회 부조리를 고발하기 위함이라면 지금보단 절제되야 하지 않을까?

연기도 일부는 매끄럽지 않고

무엇보다도 일주일도 안되는 공연시간

단 몇일이면 관객 반응을 알아보기에도 짧은 시간인데
취미로 연극하는것도 아닐텐데
영화,TV배우 지망생들 연습시키는건가?

요즘 연극 예매 홈페이지에서 리스트를 보면 이렇게 일주일 남짓 하는게 절반은 되던데
이게 무슨 현상인지 모르겠다.

무슨 식당의 손님 테이블 회전률을 올리는것도 아니고

이렇게 짧게 공연을 하기때문인지
음향하고 벨런스도 좋지 않고
배우들의 동선도 좀 그렇고(무대를 효과적으로 쓰질 못하는거 같음)

짧게 공연하느라 많은것을 신경쓸수 없다면 차라리 무대는 최대한 절제하고
심리묘사에만 모든것을 투자하면 엉성함은 훨씬 덜하지 않을까?

그 짧은 시간, 그 비좁은 무대에서 뭘 그리도 많은것을 꾸역 꾸역 넣으려 애쓰는지.. 에휴

'연극.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 -하녀들-  (0) 2017.12.24
연극 -새벽이 오지 않는 밤-  (0) 2017.12.17
연극 -스테디 레인-  (0) 2017.12.03
연극 -분홍나비 프로젝트-  (0) 2017.11.26
연극 -새-  (0) 2017.11.19
Posted by 시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