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이 소극장은 대형 건물 내 지하2층인지 3층인지 구분하기 어렵고 입주가 안되서
어두컴컴한 곳 옆에 위치하고 있어서 모르고 들어갈땐 좀 으스스 하다.
(날도 약간 쌀쌀함)
소극장 시설은 매우 좋다. 주변 소음도 없고 조명이나 기타 시설도 훌륭.
루시퍼?
이 내용은 실화인가?
알카포네에 대한 내용?
영화 대부?
아니면 주성치영화 쿵푸허슬의 조폭(갱단) 두목같은?(상황은 많이 다름)
뭐가 됬던 왜 카포네 3부작으로 만들었는지 모르겠고 각 연극간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같은 호텔, 같은 호실과 카포네 갱과 연관된정도
하지만 내용도 다르고 표현도 다르고 느낌도 다르다.
로키는 결혼직전, 루시퍼는 결혼 이후? 그렇다면 빈디치는 중년?
이번 장르는 서스펜스(Suspense)????
영화처럼 클로즈업되는 기능(?)이 없기때문에 과장되는 면이 있지만
어색하지 않게 표현하면 과하면서도 과하지 않게 다가온다.
그런데 이 연극은 서스펜스라곤 하기엔 일반 드라마 같기도 하다.
전체적인 흐름에서 예상못한것이 나온다거나 하지도 않고 느낌이나 표현의 색다름도 그다지.
그리고 좌우로 길게 셋팅된 무대는 대형 극장 맨 앞자리에 관람하는것 이상으로 시야에서 벗어난다.
(이부분은 극단측에서 좀 고민해봐야 하는 사항이 아닐런지)
저들의 결혼생활속엔 아이가 왜 없는것일까?란 생각은 무의미?
일반 가정같은 환경을 갖출수 없는 조건속에서의 불안,구속,압박이 있을거란 생각은 들지만
왜 이 부부만 그런것일까?(다른 혈족은 일반적인 가정도 갖추고 있어보이니 약간은 궁금해짐)
남자에겐 카포네에 대한 심각한 열등감이나 압박감이 있었던건가?
그 시대의 여성의 사회적 위치가 어떤지 모르지만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여성권위가 많이 떨어졌다고 하던데(전업주부가 여성들의 꿈인냥 인식을 전환시킴)
이 연극속의 여자 역시 크게 다르지 않은 사회적 위치를 보여준다.
온실속 화초같은 힘없는 존재, 무능하고 수동적인 그리고 해바라기같은
(작가가 이런 망상에 사로잡혀있었던건지 그 시대 그랬던건지 모르겠음)
조금은 독특하게도 서로의 애정관계는 지금과 크게 다름없다.
이런부분에서 멜로드라마같이 느껴져 시대나 상황에 맞지 않는 이중적 표현으로 보인다.
(현대적 감각과 예전 감각을 컬래버레이션(꼴라보) 해놓은거 같은?)
로키때도 호텔방의 답답함을 느끼곤 했는데 이번 역시 비슷한 답답함을 느끼기 충분한데
(자신이 폐소공포증이 있을경우 이 연극은 독이 될 수 있으니 관람을 고민해봐야 함)
이들의 액션이 매우 큰 반면 무대는 너무 좁다.
관객석은 호텔방의 벽으로 보면 상황이 얼추 맞을텐데 그러다보니 더욱더 답답하다.
그 좁은 방에서 한둘 또는 세명이 치열하게 심리전을 펼친다.
(세명일땐 심리전이라기보단 몸싸움을)
끊임없이 생각자체를 제약하는 남자(이름이 있는데 왜 올드맨이라 적은지 모르겠음)와 그것을 어느정도 수용하는 여자
이런 수동적인 행동 역시 답답함을 자아낸다.
(작자가 의도한 요소도 있지만 느끼는 모든 답답함을 예상했을지는 모르겠음)
연극 당시를 회상하니 더욱더 답답함이 생겨난다.(저녁 밥을 너무 많이 먹었나? -.,-;;)
갑갑한 호텔방 661호
이 답답함은 내일 마무리되겠지만
연극을 하루에 모두 보는게 뒷끝은 더 좋을거 같다.
(삼일간 늘려서 보니 기분이 겹쳐지는거 같음)
볼수록 기운 빠지는듯 우울함.
영화 '대부'는 마지막 한장면으로 모든것을 표현하던데
이 연극은 연대 순서대로 보고 있음에도 끝이란게 기대되지 않는 까닭은 무엇인가?
단편 단편 봐도 손색없다곤 하지만
이건 극적인 요소에 손색 없다는 것이고 생선중간토막이 아무리 맛있다 한들
머리와 꼬리가 궁금해지는건 인간이기때문 아닐까?
하지면 역시 이 연극은 모두 본다고 한들 머리와 꼬리가 보일거 같진 않다.
중간 중간 살짝 내비춰서 어찌 생겼는지 예상 할 정도로 조금은 부족하다.
(연극 전체를 보는데 그리 중요하진 않음)
그리고 감정을 너무 끌어올리는게 아닌가 싶을정도인데
이런걸 뭐라 해야 할지 모르겠지만 배우의 온도가 높다고 관객의 온도가 높아지는것은 아닐텐데
이 극단 특징인지 무대위에서 연기하다가 죽겠다는 각오로 덤비는거 같이 힘들어보인다.
왜 이렇게 감정을 고조시키는건지..
감정이 너무 격해지면 조용해질텐데
영화에서 감정에 이끌려 사람을 죽이기 직전의 바로 그것(?)을 보여준다.
이런것들은 극을 보는데 상대적으로 쉽게 접근할수 있지만
식상함도 함께 따라오기때문에 양날의 검같은게 아닐까?
너무 강한 감정, 뻔한 스토리, 알기 어렵고 궁금한 과거의 흐름.
동일한 호실을 소재로 하는 내용은 서스펜스 아니면 호러긴 한데
루치페르(루시퍼)란게 왜 붙었는지 모르겠지만
아니다. 루치페르란 자체가 소설의 소재로 딱이니 그런의미에서 맞는건가?
연극 어디에도 루치페르의 흔적을 찾아보긴 어렵다.
인간 내면의 따뜻함 따위라거나 잔혹함과 냉철함 같은 이중성때문이라면
다양성이 없는 인간이 세상에 존재 할 수 없으니
한시간 조금 더 되는 극 세편으로 이루어졌는데
2시간 30분정도로 해서 세편을 한편으로 붙여서 공연하면 안되나?
서로 다른 내용들이라서 한편만 보긴 좀 아쉬움이 있으나
3일간 본다거나, 3타임으로 나눠서 하루에 모두 보는것 자체가 부담스러울텐데
어떤 편집자가 한편으로 만들어서 내년엔 또 봤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