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공연2020. 12. 5. 22:13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그제 수능시험이 있어서 거리에 학생들이 많을줄 알았지만 예상과 다르게 광화문과 미술관은 썰렁하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학생들에겐 좋지 않은 고등학교 학창시절 마지막을 보내게 된게 안타깝지만
그럼에도 기억에 남는 고등학교 마지막을 보내길 기원한다.

날도 춥고 코로나 바이러스는 더욱더 극성이니
혜화동 공원엔 사람이 별로 없고 연극 소극장 역시 관객이 적다.
연극은 비좁은 자리를 뛰엄뛰엄 앉기때문에 덜 불편해서 오히려 보기 좋지만
관객은 코로나 이전이나 지금이나 미래에도 항상 적겠지.

제목에서 풍기듯 그냥 그런 내용인듯 싶지만 요즘엔 60~70분짜리 연극들이 많아져서
이런것을 볼봐엔 식상한 소재라도 90분 이상은 되는 것을 보는게 낫겠다싶어서 선택했다.

내용은 예상보다 더 식상하고 지긋지긋한 신파도 깔리고

전체적으로 가볍게 볼수 있지만 가끔식 나오는 이런 이상한 감정선때문에 맥이 끊긴다고 해야 할지..

윗몸 일으키기 한개도 힘들어 하는 주부가 갑자기 백댄서를 한다거나
과거에 잘 나갔다던 안무가가 아무도 찾기 않는 에어로빅 강사를 하고 있고(춤 교습소도 아니고)
오래도록 아르바이트도 안하고 작곡에 열중할수 있는 재력의 싱어송라이터도 있다.

다들 모두 돈벌이 수단이 극히 없어보임에도 별로 큰 고민거리가 되진 않아 보인다.
심지어 재기를 꿈꾸는 가수와 매니저도 먹고사는것엔 큰 관심이 없다.
단지 연예인으로서 관객앞에 서고 싶다는 욕망만 있을뿐

이들은 이미 의식주를 추월한 상태의 실버스푼들의 삶일까?
그래서였는지 등장인물들의 상황들이 마땅히 공감되지 않는다.

재력가라고 하기에도 이상하고 서민이라 하기에도 이상하다.

벌어지는 사건들도 별로 납득이 되지 않으니 감정이 동화되질 못한다.

배우들은 저마다의 역활에 무척 충실하지만
명확한 주제도 안보이고 한국 사람들의 삶도 특별히 보이는 것이 없다.

일반적인 삶을 희극에 녹여내는것이 쉬운것은 아니겠지만
너무 동떨어진 세상을 그려낸거 같아서 눈을 뜨기도 감기도 모호했다.

차라리 친구들의 삶을 좀 과장해서 그려내지...

코로나 덕분이라 하기는 그렇지만
정책으로 관객석을 한칸씩 띄어 앉기때문에 넓고 편하게 앉을수 있으니
코로나가 잠잠해지기전까지 많이들 관람하시길..

'연극.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 -낙원의 사람들-  (0) 2021.01.02
연극 -빈방 있습니까-  (0) 2020.12.26
-판소리완창 김수연의 수궁가_미산제-  (0) 2020.11.21
연극 -구멍이 보인다. 손이 온다-  (0) 2020.11.07
연극 -용선-  (0) 2020.10.31
Posted by 시세상
시(Poem)2020. 11. 28. 21:42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가끔은
외로움을 느낄때도 있지

파란 창문 밖은 괜찮을수도 있지만
파란 창문 밖을 넘어서기엔 힘들다

집에서 혼자 술을 마시면 빨리 취하지만 생각이 빨리 지워져서 좋다.

'시(Po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자리  (0) 2021.04.11
가슴  (0) 2021.04.11
삶이 지나갈때  (0) 2020.09.20
위험한 사랑  (0) 2019.03.18
가끔씩  (0) 2019.01.12
Posted by 시세상
연극.공연2020. 11. 21. 21:02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근래엔 회사 일도 많고 이런 저런일도 많고 연말이고 해서
마음이 차분해지질 않는다.
이럴땐 공연을 보며 좀 차분해지길 원하기도 하지만 나만의 욕심이겠지

극장에 앉아서 시작하기를 기다리는데 오늘따라 더욱더 의자가 불편하다. 몸 콘디션이 엉망은 아니지만
아무튼 불편한 의자에 앉아있는것은 기분이 좋지 않다.

조금 후 사회가 나와서 전반적인 설명을 하고 바로 시작하는데 역시나 어렵다.
그전에 대본을 두어번 읽어본적이 있어서 개략적으로 이해 할 수 있지만 그정도에 그친다.
한글이 만들어지고 배포된지 수백년이 지났음에도 한국사회에서 한문은 언제나 가득차있다.

별주부가 물위로 나오자 마자 1막이 끝났는데 이상할정도 짧다.
한 45분정도? 해설이 포함된 시간이니 한 30분만에 중간 쉬는 시간이 온것이다.
왜? 김수연명창 몸이 안좋은가.
두번째 역시 얼추 비슷한 시간만에 끝이 나버렸다. 역시 해설시간 빼면 공연시간은 35분정도일까?
이후 토끼가 수궁에서 살아나와 육지에서도 몇몇 사건 이후 여생을 잘 보냈다는 마무리까지 하니 6시정도에 끝이 났다.

시원스럽지만 두툼한 목소리가 매력적인데 애원성이 좋다고 하지만 구체적으로 무엇을 말하는지 모르겠다.
창이 툭!툭! 끊기는 느낌이 강한것은 몸 콘디션이 안좋아서 그런건지 원래 수궁가의 특정 대목이 그런건지
여러번 본것이 아니라서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어색하다.

소리하는 사람들은 평생동안 다섯개의 판소리중 몇가지를 완창할까?

표현의 무게 무거워지고 깊어질무렵엔 목이 망가지고 몸이 쇠하여 더이상 못하게 되는것은 아닐까?

아무튼 자막이 없어서 이해하기 힘든 판소리라는 것을 듣기 위해 애쓴 나도 고생이고
어려운 판소리를 사람들에게 들려주겠다는 일념으로 평생을 닦는 소리꾼들도 고생이란 생각이 드는 하루였다.

'연극.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 -빈방 있습니까-  (0) 2020.12.26
연극 -당신은 나의 천하장사-  (0) 2020.12.05
연극 -구멍이 보인다. 손이 온다-  (0) 2020.11.07
연극 -용선-  (0) 2020.10.31
판소리완창 김영자의 심청가_강산제-  (0) 2020.10.24
Posted by 시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