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공연2025. 4. 19. 21:27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아~ 1인다역 끝판왕인가?
로미오와 줄리엣은 너무 좋아하는 고전 중 하나다. 엄밀하게 보면 책보단 1968년작 영화(올리비아허시주연)를
좋아하는 것이다. 이것은 이후 레오나르도디카프리오 주연의 현대물이 아닌 고전 원작 그대로 만든 작품이다.
그래서 책을 읽어도 오버랩이 거의 완벽하게 되고 이질감도 없다. 거기에 올리비아허시의 아름다움까지
대사 하나 하나가 곱씹다보면 주옥같지만 다르게 보면 그냥 풋사랑의 절절함이라 해야 할까. 아~ 그래도 그 사랑은 그립다.

그런데 그 원작 대부분 그대로를 옮겨놓은거 같지만 표면적으로 아주 많이 뒤집어놨다고 해야 할까?
오케스트라작품을 듀엣용으로 편집을 했다고 해야 할지
보는 내내 내용 그 자체보단 다수의 인물을 단 두명으로 그려내게 만든 편집(재창작) 능력이 돋보이는 극이었다.

영화를 좋아하고 비극인 만큼 너무 슬프기때문에 아무리 광대들의 놀음이라 할지라도 그 끝을 생각하면 눈시울이
뜨겁지 않을수 없어서 코믹극에서 눈물 흘리는 이상한 상황이 벌어진다는게 조금 뻘쭘하지만
두명의 광대는 그 복잡미묘한 비극을 연기하면서도 로미오와 줄리엣 특유의 사랑을 빼놓지 않는다.
다만 뭐랄까? 몬테규와 캐플렛 두 집안의 긴장감이 좀 없다고 해야 할까?
서로 못잡아먹어서 안달인 상황을 두 광대가 코믹으로 변화시켜서 약간은 정신없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아무래도 한 사람이 몇 사람의 역활을 맡기때문에 계속되는 배역 바뀜은 로미오와 줄리엣에 집중하기엔 쉽지 않았다.

나는 이 두사람의 감정선에만 집중하고 싶은데. 이들의 암울한 운명을 보다 넓고 깊게 헤아리고 싶은데
배우 한사람 한사람에 시선을 집중할 수 없는 상황이니 웃으면서도 어려운 연극이었다.

왜였을까?
왜 졸렸을까?
이미 다 알고 있는 내용이라서?
아니면 몰입감이 감소되는 몇몇 요인들때문?
두명의 훌륭한 배우들이 모든 배역을 소화함에 있어 관객인 내가 소화시키지 못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책도 여러번씩 읽고 영화도 여러번 봐도 별로 질리지 않는 작품인데 단 90분짜리 연극인데 몇십분만에 지친다고? 

한두번 더 보고 싶긴 한데 너무 슬프기도 하니 내년에 또 해주길 기대하는 수 밖엔

그리고 이 연극의 특이한 점 한가지는 비극을 희극(?)으로 바꿨다는 것이다.
광대는 즐거움을 추구하는 존재들이니 이들은 이것을 과감히 뒤틀었다. 그렇지만 별로 감흥은 없다.
예전 어떤 교수가 그랬듯 로미오와 줄리엣이 죽지 않았다면 이혼했을거라는것에 동의한다.
사랑은 언제나 애절할때까지다. 사랑은 간절함이 이루어지기 직전까지가 가장 아름답다.
로미오와 줄리엣이 그 정점에서 죽었고 춘향가에서 춘향이가 옥에 갇혔을때까지가 그때다.

그런데 해피엔딩으로 신부의 서신이 로미오에 제대로 전달되서 줄리엣과 함께 떠난다는 것은?
갑자기 흔하디 흔한 우리들의 삶이 투영되기 시작된다. 그래서 나는 이 연극은 단 둘의 광대가
이토록 열광적으로 동분서주하게 만드는 여기까지 존경의 박수를 보내고 싶다.

코믹 아닌 코믹극에서 눈시울 뜨거워지는 민망함은 나만의 몫이니 그러려니 하지만
아름다운 로미오와 줄리엣 그리고 내일의 희망을 새롭게 꿈꾸는 저 두 광대에게 밝은 미래가 찾아오길 바라며
두 광대도 사랑스럽고 로미오와 줄리엣도 아름다운 이 극을 내년에도 볼 수 있길 기대해본다.

출연 : 구옥분, 서인권, 류찬

'연극.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 -기형도 플레이-  (0) 2025.04.26
연극 -초록의 찬란-  (0) 2025.04.13
국악 -토요명품-  (1) 2025.04.05
연극 -마트로시카-  (0) 2025.03.29
연극 -적벽-  (0) 2025.03.22
Posted by 시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