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공연2025. 3. 29. 22:0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3월의 막바지인데 영하의 기온에 눈발까지 날리다니
어제까지만해도 약간 쌀쌀한정도였고 그제는 더워서 겉옷을 벗고 다녀도 될거 같은 날이었는데
괜히 얇게 입고나갔다가 춥고 바람이 엄청 불어서 걸어다니는것도 버거울정도였다.
그래서였는지 이 핑계삼아 탄핵집회엔 오래있지 않고 얼마 안있어 서점에 들어가 몸을 녹이며 책구경을 하다가 들어왔다.
연극이 끝나고 이후 몇시간이 흐를동안 연극 생각은 거의 들지 않았다. 코미디의 비애일까

마트로시카... 인형속에 크기가 작은 같은 형태의 다른 인형이 있고 또 있는 뭐 그런 인형인데
러시아 사람들은 이 인형을 왜 만들었을까. 어떤 종교,철학적,주술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건가?
아니면 아이들이 인형을 까고 놀라고 만든걸까
연극의 제목이 그러하듯 극중 극단의 이름이 마트로시카이다. 내면속을 깊게 파고 들겠다는건지
아무튼 전형적인 코미디 장르이며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부분에서 관객을 웃게하려고 애쓴다.
다만 내용은 크게 별볼일 없다. 초반 달동내에 집을 구하는 장면으로 시작되는데 차라리 이 이야기를 끌고 나가는게
더 드라마적 요소가 많았을거 같은데

전체적으로 서술이 너무 긴편이고 슬랩스틱같은 코미디와 말장난같은 요소로 채워져있다보니
그냥 마트로시카 극단의 우여곡절, 갈팡질팡, 에피소드같은 '웃으면 복이와요' 같이 줄거리만 있는 코미디 프로그램 한편 본느낌이고
이런극은 아무리봐도 별로 기억에 남지 않는다는 깔끔함과 허탈함이 남는특징을 그대로 가지고있다.
바지에 똥쌌다고해서 다시생각나봐야 더럽기만 할뿐 그때 웃던 그 기분이 살아나지 않을뿐더러
기억나는게 결코 좋을거 같지도 않다.

극중 마트로시카 극단장인 남동진이 연극을 아끼고 사랑한다곤 하는데 그런 애정도 느껴지진 않는다.
당연히 로멘스도 없다. 그냥 코미디로 시작해서 코미디로 끝난다.
별다른 사건도 없고 사건이 발생한다고 해도 몇분만에 모두 해소되거나 흐지부지 사라지고
그런것을 유심히 살펴볼만한 여유도 주지않는다.

코미디일거란 생각은 했지만 이렇게 순수한 코미디일거란 생각은 하지못했다.
관객에게 웃음도 주면서 크게 기대하지 않는 감동, 감흥도 좀 있는 드라마일거라 생각했건만
예상을 완전히 벗어나버렸다.

어쩌면 요즘 내 상황이 별로인관계로 이렇게 생각없이 웃다가 끝나버리는 연극이 필요했을지도 모르겠다.
웃음소리와 함께 무엇인가 씻겨내려가면 좋을거 같은 기대감이랄까

코미디 장르 특성상 초반에 분위를 좀 업 해주는게 좋을텐데 안내 맨트때 약간 그런면이 있었지만
선물 퀴즈를 연극 시작전에 하면서 분위를 한층 올려놓고 시작했다면 훨씬 좋지 않았을까란생각이 앞선다.
왜냐하면 시작부터 무척 웃긴장면들의 연속이지만 거기에 동화되기엔 내 기분이 아직 준비가 덜 된 상태였기때문이다.
아무래도 웃음은 군중이 다 같이 업!된상태에서 함께 웃으면 더웃더 배가되는거 아니겠나.

이 연극은 원래 하이텐션으로 시작해서 하이텐션으로 끝나는건가?
올랐다가 내렸다가 뭐 그런게 있어야 하는거 아닌가? 롱런하는 코미디 연극들은 대부분 드라마적 요소들도 충분히 있고
장르적 허용을 잘 살리지만 이 연극처럼 넘어서진 않는거 같다. 약간은 지나치다싶을 정도로 벗어나는 경향도 좀 있다.

요즘같이 한국사회가 꿍~한 시기엔 이런 연극 한편보고 다시 기운차려서 일어설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헌제는 탄핵선고 좀 빨리해라.
세삼 한국의 사법계가 얼마나 쓰레기 집단인지 올해도 역시나 느껴지는거 같다.
(판사집단을 왜 신뢰한다고 하는지 이해를 못하겠다. 판결 결정권을 가지고 있으니 뒤로는 쌍욕하면서도 대놓곤 못할뿐 아니었나?
박정희, 전두환시절 수많은 사람을 순식간에 사형판결내서 죽이고
집안을 풍비박살내고, 괴롭혀서 자살하게 만드는 집단으로 일제강점기부터 지금까지 바뀐게 없는데
언제부터 헌제는 믿을만했다는걸까? 명예 같은 개소리는 하지 말자. 목에 칼을 들이밀어도 대쪽같을 판사가
대한민국에 몇이나 있다고 헌제판사들은 안그럴거라는 등 헛소리들을 하는지
현실적으로 내란범들을 처벌할수도 없고 대통령 선거도 하기 어렵다면 최소한 다시 내란이 벌어지지 않도록 정지라도 시켜라.) 

출연 : 윤제문, 허동수, 김도형, 윤감송, 김낙연, 윤예솔, 서은지

'연극.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 -초록의 찬란-  (0) 2025.04.13
국악 -토요명품-  (1) 2025.04.05
연극 -적벽-  (0) 2025.03.22
연극 -워크맨-  (0) 2025.03.15
연극 -즐거운 나의 집-  (0) 2025.03.01
Posted by 시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