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공연2024. 6. 22. 21:51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이상하다 컴퓨터 날씨에는 분명 쾌청으로 나오는데 비가 오다니
왜 이럴까 한참을 고민하다 지역을 보니 이상한 어느 적도 지역으로 되어있는것이 아닌가
서울로 바꾸니 바로 비가 내린다. 적도의 어느 바닷가는 오늘 맑음이었겠지

내가 발레를 본적 있던가? 현대무용은 어찌저찌하다보면 가뭄에 콩나듯 보게되고
한국무용은 몇해전부터 일부러 좀 찾아보는 편이긴 한데
발레는 기억에 없다. 그 특유의 쫄쫄이도 좀 그렇고 발가락도 아파보이고 발레리나(노)들이 마른 장작같아보이기도 하는 등
아무튼 아름다움을 추구한다기보다는 고행같아보여서 눈이 그렇게 편한 장르는 아니다.
(생각해보니 가끔씩 짤막하게 흐르듯 본거 같긴함)

그래도 올해는 한국 고전만큼정도는 서양고전도 좀 인위적으로 접해보다는 생각으로 찾아보다가
그나마 현대적(?)으로 보이는 이것을 선택했지만 그럼에도 장르자체가 신경쓰임은 어쩔수 없는거 같다.

발레축제라던데... 두 작품 모두 현대공연예술 같은 느낌이 강하다.
간간히 발레에서 볼 수 있는 느낌은 있지만 전체적인 흐름은 통상적인 그것들과는 너무 다르다.
국악을 현대화 한다면서 이도저도 아닌 이상하게 만든것과 비슷한 느낌이려나? 현대무용도 아니고 고전무용도 아닌 그런

우아함은 상대적으로 적고 현대한국사회에 맞게 역동적이며 전체적인 아름다움은 상대적으로 뒤로 밀려있는 느낌이다.
무용은 문외한이기때문이기도 하지만 표현양식이 너무 추상적으로만 달리면 누군들 이해할수 있을까
현대미술도 그지같은 개념미술이니 뭔 헛소리하면서 개똥철학이나 늘어놓고 전위예술도 그다지 납득되지 않는다.
냉정하게 보자면 자신만 아는 자신만의 방법대로 표현하고 사람들이 이해를 못하니 말로 구차하게 설명하는 그런 모양세다.
(예술가라면 대중들이 이해할수 있도록 눈높이를 낮춰서 자연스럽게 녹아들도록 하는것이 예술가의 직업의식 아니었을까
그속에서 엄청난 괴리감과 자괴감, 좌절감 그리고 비관이 태어나고 사라지면서 훌륭한 작품들로 승화되는거겠지)

오늘 두 작품 모두 발레축제에 현대무용을 들고 나온거 같은?
국악축제에 송가인(국악인출신)이 나와 트롯을 부르는거 같은 묘한 기분이 들었다.

축제땐 신작도 발표하고 인기있는것도 나오고 뭐 그런거라서 잘못되었다고말하는것은 아니고
포스터의 그것을 상상했다가 뭔가 뒷통수를 맞은거 같은 뻘쭘한 기분이 좀 들어서 투덜거리는 것이다.

다만..
저들의 춤사위는 무엇인가 엉성한 기분이 든다.
한국사회에서 아이돌의 칼 군무를 너무 당연시하는 문화때문에 그런것일까..
몇시간전에 만나서 합을 맞춘 전문가들 마냥 각각은 뛰어난데 조화롭지 않다고 해야 할까..
거친 야생 세계 같다고 해야 하나... 매끄럽지 않다.

아직 내가 초짜라 저들의 깊음을 이해못하는것이겠지..
앞으로 좀더 보곤 싶은데 서양 고전은 비싸도 너무 비싸다. 오케,오페라 한번 보는데 30만원돈는 좀 너무 한거 아닌가?
고전음악적금이라도 열댓개정도는 들어놔야 1년은 넘길거 같은데.. 젠장..
보고 싶은 오페라들도 너무 많이 해서 예약 충동이 손가락 끝을 떨리게 한다.

한국이 이렇게 잘 사는 나라가 되서 1층 대부분을 R석으로 해놓고 20~30만원을 붙여놔도
몇석 안남는 부유한 나라가 되었다니 역시 세계 10위권 경제대국 에휴..

출연(올리브) : 알렉산드르 세이칼리예프, 서보권, 김현수, 정종웅, 이승아, 윤오성, 이준원, 강주신, 김민수, 도하련, 함도
출연(황폐한 땅) : 류형수, 김유식, 이소정, 최예림, 김평화, 안지원, 이현수, 최정인

'연극.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 -불나비-  (0) 2024.07.06
공연 -신선-  (0) 2024.06.29
연극 -새들의 무덤-  (0) 2024.06.15
연극 -죽은 남자의 휴대폰-  (0) 2024.06.06
연극 -스쁘라브카(열람)-  (0) 2024.06.01
Posted by 시세상
전시2021. 7. 2. 20:58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일이 있어서 반차내서 볼일 보고
근처 예전당에서 크게 한다는 피카소전
소문난잔치에 먹을거 없다고 사진 촬영 못하게 할때부터  알아봤음
한시간도 볼거리가 안됨
볼게 없으니 테마별 쓸모없는 텍스트만 더럽게 엄청많음
제발 쓰레기를 가져와서 수백점 이지랄은 하지말자
그리고 미술관에서 줄서서 보지 말고
설렁설렁 걸으며 아무거나 막보자

Posted by 시세상
전시2020. 1. 23. 22:56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설 연휴니 조촐하게 예매해뒀던 곳중 가까운곳으로

제발 습작은 좀 모아둬라. 가급적 전시하는것은 참아주고. 공간 아깝다.
그림갖지도 않은, 개인 박물관에나 있을법한 종이쪼가리들 전시하지좀 말고
삽화는 책 전체를 둬서 사람들이 책장 넘기며 볼수 있게 해주지 이걸 모두 찢어서
한장 한장을 액자에 넣어 전시를? 액자가 아깝다.

그리고 스캔해서 인쇄해놓은 상업포스터를 몇십만원에 파는것은 무슨 수작이지?
이 사람 작품은 프린트물도 이렇게 비싸야 하는 이유가 있나? 걸고 싶은 생각이 들진 않던데

사진 찍으면 있어보일거 같은 곳이나 크게 확대 프린트 해서 홍보가 잘 될거같은 곳만 사진 촬영을 허용해서
정작 쓰레기들은 못 찍게 하는 치밀함까지..

채색된 회화는 없으니 이 사람의 유화를 기대한다면 안됨

황금같은 연휴에 이런 전시회에 돈을 낭비하는 일이 없기를 바라지만
힘없고 돈없는 우리들이 그림보러 외국 간다는건 쉽지 않으니
요즘 많이들 구입하는 스마트대형TV에서 검색해 감상하시길..
어차피 프린프물이 대부분이거나 인쇄물들, 연필로 끄적인 습작따위들만 있어서
TV로 감상해도 전혀 문제 없음
(인터넷만 뒤져도 이 사람의 수많은 작품들이 나오는데 이런거라도 좀 인쇄해서 걸어놓지 개놈들)

 

Posted by 시세상
전시2019. 12. 31. 19:45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간만에 붙어있는 있는 연휴(공휴일은 아니고 회사에서만 휴일)
너무 늦은 시간에 연극을 보긴 그래서 미술관과 거리를 배회

그렇지만 기껏해서 두어시간 이상은 돌아다니면 지방에 눌려 꿈틀거리는 통증
봄 여름 가을 겨울 관계없이 하루 해는 언제나 빨리 떨어진다

 

 

'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시회 -광화문 국제 아트 페스티벌-  (0) 2021.01.23
전시회 -툴루즈 로트렉전-  (0) 2020.01.23
전시회 -눈썹, 모래산 건설, 다공성계곡-  (0) 2019.06.09
연극 -도착-  (0) 2019.03.23
전시회 -The Essential Duchamp-  (0) 2019.03.01
Posted by 시세상
전시2018. 2. 2. 00:13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내년에도 또 할 지 모르겠으나 올해보다는 덜 이상한 그리고 울림이 있는 작품을 볼 수 있길..
이번은 우연이라기 보다 다른 전시회를 뒤지다가 알게 되어 어느정도 날짜를 맞춰서 오긴 했는데
작년보다 더욱더 난해해져서 돌아 온 느낌이다.

이번엔 단편 영화까지..

무엇을 표현한것일까?
무엇을 보여주려 한것일까?

영화를 봐도 그렇고
말로 표현 하기 힘들더라도 그 외 감각으로 느낌이 오면 괜찮겠는데
작가에게 물어볼수도 없고
마땅히 작품 해설도 없고

전위적인거 같지 않으면서도 그런거 같고
아직은 넘어서진 않은거 같으면서도 이미 넘어선거 같기도 하고.

무엇인가 표현할때 대상이 그것을 알아듣지 못한다면
예술가는 어떻게 해야 할까?
관객을 바꾸면 될까?
아니면 작품을 달리 표현 하면 되는걸까?
무시하고 갈길 가면 되는것일까?

표출된 작품들이 난해하다고 해서 그 사람의 머리속까지 엉켜있을거란 생각을 하진 않는다.
문제는 난해한 작품들을 난해하게 그려내고 있는 난해한 표현방법들이 문제라면 문제

표현 방법이 남다르더라도 나 이외 사람들을 위한것이라면
그 만큼의 눈높이를 맞춰주는게 좋을텐데

수많은 예술가들의 일대기를 보면 익히고 표현하고 정립하며 끝을 본다.
구혜선이란 작가는 지금이 표현하는 시기라서 수많은 시도를 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내년에도 또 할 지 모르겠으나 올해보다는 덜 이상한 그리고 울림이 있는 작품을 볼 수 있길..


환상같으면서 현실인거 같기도 하고
또렷한 선 속에 뿌연 안개가 보이기도 하고
흐트러져 있는 생각을 표현한거 같기도

벽에 걸고 싶은 멋진 작품..


영화가 길진 않은데 간만에 좀 걸었더니 허리가 아퍼 한번밖에 못봐서 그런지
무슨 내용인지 잘 와닿지 않는다.
이런 특이한 영화를 제작할땐 제발 설명도 좀..

 

Posted by 시세상
전시2018. 2. 1. 01:14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어제까진 제법 추웠는데 오늘은 한결 따뜻한 날이다.
저번주에 가려다가 오늘(월말 수요일)가면 문화의 날인지 뭔지로 50% 티켓 값이 저렴하다고 하여
급한것도 없고 해서 오늘 가게 되었는데 젠장
6시 이후부터 할인이 된다고 한다. 9시까지만 개장하면서
공연류는 시작과 끝이 정해져 있지만 이런 전시회는 하루 종일도 볼수 있는건데 이렇게 시간을 정해놓다니.
문화의 날이면 문화의 날이지 무슨 시간을 정해놓고 할인을 하는 빙신같은 정책을 내놨을까?
(놀이 공원이나 스포츠경기장같은것도 후반부에 가면 깍아주는데 별 그지똥같은 정책을 다보겠네)

낮에 갈 수 있는 백수는 혜택받으면 안되고 직장인들만 받으란 소리냐? 에이 개놈들

하여튼 생색만내고 돈은 않쓰려 하는 더러운 꼼수들은 언제쯤이나 바뀔런지..

그림은 감성을 건든다고 봤을때 디자인은 이성을 건드는거 같다.
기분탓인지 모르겠지만 돈과 직결되어져 보이고 발주처가 존재하는등
일반 기업의 생태와 유사한 점이 많다.
그래서 그럴까? 작품이라기 보단 제품이라고 말하는게 어울리는 느낌이 든다.
(디자이너들은 자신들의 작품을 돈과 연계 시키는것이 싫을 수 있겠지만)

지라드란 이 사람 것 역시 크게 다른 느낌이 들진 않는다.
전체적인 구성은 3가지 정도로 나눠놨는데
저번에 봤던 플라스틱환타지에 비하면 소재때문인지 생김세의 자유로움이 덜하다.
텍스타일(직조물)의 패턴들은 이미 시간이 너무 흘러서
흔하디 흔한 것들이니 새로울것도 없는 디자인(시발점이 되보이지는 않음)

그런데 이런 디자이너들의 작품(제품이라 해야 하나?)들을 보면
그 고급스러움을 말로 표현하기 힘들다.

비슷한 디자인, 비슷한 패턴, 비슷한 생김세들인데
왜 이들이 디자인 한 제품들은 이리도 정성들인 제품들로 보이는걸까?

무엇이 제품의 감각을 이리도 다르게 하는지
물론 가격이 저렴하진 않다.

돈만으로 고급스러운 풍격을 만들수 있다면 세상에 디자이너란 직업은 사라졌을거다.
인공지능이 이 세계를 가로챌수 있을까?

한국사회도 돈만으로 해결된다는 사고보단
돈이란것은 수단일뿐 그 위에 사람의 사고가 있어야 빛을 발한다는 생각이 많아지길 바란다.

오늘 수십년만에 찾아온 블루문, 개기월식이라는데 날이 이래서야 어디 볼 수 있을라나?

해가 구름에 가려졌지만 그래도 날은 안추우니

 

이런곳에서 친구들과 담소를 나눌수 있다면
그것 또한 괜찮은 즐거움일텐데
일반 집을 저렇게 파내서 만들수 있는건가? 갖고 싶으나 갖을수 없는 묘한 구조

약간은 원시적인 태양 숭배같은 말을 하던데..
(생명의 원천이다보니 태양을 버리기 쉽지 않을테고 의뢰받은 작품의 일부니)
한가지 소재로 이리도 많은 표현을 할 수 있다는것은
말과 글(문자)이 인간의 표현을 심각하게 제약하는지 간접적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말과 글이 이 모든것을 표현하게 되념 그것은 말과 글이 아니게 되는 모순을 지니고 있다.

이곳에 이렇게 많은 낙서가 있는줄은 처음 입장할땐 전혀 몰랐는데 왜?

낙서하라고 적혀있지도 않은거 같은데 어쩌다 낙서가 깃들게 된것일까?

Posted by 시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