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공연2024. 12. 25. 21:43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눈이 많이 오내, 폭설 경고 어쩌구 저쩌구 해서 주머니에 우산 한개 챙겼는데
눈은 커녕 하늘만 맑다. 도데체 어느지역에 눈이 내렸다는 건지
그래도 겨울이라고 날은 제법 추운데 이 추세라면 올해는 늦가을용 외투 하나로 버틸지도 모르겠다.
회사원이란게 그렇듯 추울때는 출퇴근 단 몇십분정도 외엔 항상 쾌적한 사무실에서 일을 하니
겨울임에도 겨울옷이 필요하진 않다. 물론 여름도 마찬가지

국립극장은 항상 느끼지만 전체적으로 음향은 정말 끝내주는거 같다.
감동의 큰 부분을 음향으로 먹고들어간다.

묵향도 그렇고 오늘 공연인 향연도 그렇고 과연 이 공연은, 이 춤은, 이 음악은, 이 무대는 고전의 그것이라 할수 있는가란 의문이 든다.
과연 이 공연에서 고풍스럽다는 것을 느낄수 있을까?
지금의 공연 예술장르의 한가지가 아닐까? 전통예술이 아니라 현대 예술의 한 장르로 만들어버린 공연같다.
저들의 공연은 세련됬고 웅장하며 장엄하다. 그러면서도 한국 특유의 섬세함도 계승하고 있다.
단지 과거 한국 공연예술의 뿌리만 이어받았을뿐 완전히 새롭게 보이는 이 무대는 항상 감동의 물결이다.

뛰어난 색체, 현대화된 무대 디자인 그리고 공연과의 연결
단순히 공연을 보는것이 아닌 무대 전체 속에 춤을 추는 예술인 있고 그림이 있고 빛이 있고 음악과 소리가 있다.
무엇하나 빠질수 없는 뛰어난 구성과 연출이 아닐수 없다.
사계절 속 각각의 색체가 돋보이는데 바라춤에서 바라를 크롬같은 색으로 바꾼것만으로 신선함 그 자체
(누런 놋쇠나 은빛 색이나 그냥 쇠의 색이 그러한건데 왜 그렇게 다른게 느껴지는걸까? 그리고 그동안은 왜 안바꾼것일까?)

장구춤이나 소고, 오고무 같은건 기본적으로 화려하지만 연출이 돋보인다.
오고무는 무대가 계속해서 회전하니 긴장감이 한층 가중되는 느낌까지 든다.
소고는 말이 소고지 비보이 무대나 다름없었다. (이렇게 뒤집어놔도 되는건가? ^_^)

진쇠춤이란건 원래 있었나? 꽹가리를 저리도 젊잖게 치다니.. 꽹가리는 늘 귀가 아파왔었는데
이토록 매혹적인 춤의 도구가 된다는 것도 신기하다.

국립국악원은 고전을 최대한 살리려 하는 느낌이 있다면
국립극장쪽은 그것을 최대한 뒤집어놔서 현대의 한국 미를 극단적으로 끌어올리려는거 같다.
양쪽 모두 뿌리는 한국에서 이어져온 그 무엇이겠지만
두 극장측의 지향점이 다른것은 관객 입장에서 기분에 따라 입맛에 따라 어느것을 선택해도
좋은 선택일수밖에 없는 상황은 행복하지 않을수 없다.

100분 공연이라는데 4막으로 나누고 각각 3편정도로 나눠서 지루할 틈이 없다.

낡은 책방의 곰팡내가 정감있어 좋지만
때론 교보문고에서 풍기는 책과 향수 냄새 그리고 은은히 퍼지는 클래식과 현대적 시설들이 탐날때도 있듯
지금의 시선에 맞게 바꿔놓은 이런 공연이 무척이나 반갑게 느껴진다.
흔하지 않지만 뭔가 익숙함과 친숙함, 어릴적 할머니 손잡고 약장수 공연 보러갔던 그리움도.. ^_^

국립무용단과 국립국악원무용단은 서로 다른건가? 왜 이렇게 느낌이 다르지?

출연 : 국립무용단

'연극.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악 -나례(儺禮) 훠어이 물렀거라-  (1) 2024.12.21
연극 -화성골 소녀-  (2) 2024.12.17
국악 -필운대풍류 III-  (1) 2024.11.21
연극 -퉁소소리-  (3) 2024.11.17
연극 -가난한 손자-  (2) 2024.11.02
Posted by 시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