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공연2019. 4. 27. 23:28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올해는 벚꽃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지나가버려 아쉬웠는데
연극 제목마져 이리도 씁쓸하다니

인생 끝자락에 사람들이 마주서게 되었을때의 심정을 알진 못한다.
어렴풋(이상한)한 느낌으로 회한보단 하고 싶은것이 많으나 할 수 있는게 없겠다 싶은정도랄까?

좀더 늙어야 느낌이 제대로 올지, 지금 느끼는 감정 그대로 끝까지 이어질지 모르겠지만
알아도 그다지 쓸모 없는 감정이 아닐까?

인간은 외롭기에 이것을 견뎌내기 위한 수많은 노력을 하며 살아간다.
이 노력의 가지수는 아마도 인류를 모두 합한 수와 같을것이기에 사람들을 이해하려해도
각각의 방법이 다른 만큼 이해의 깊이는 종잇장보다 얕을수밖에 없다.

이 모든 노력이 부질없게 느껴질땐 허탈하여 온몸의 힘이 모두 빠져버리길 기대하기도 한다.

아무튼 이 연극은 끝에 서있는 두 여인과 한 젊은 여인의 이야기인데
전체적인 분위기는 한국풍경이라기보단 일본 느낌이 이상하게 많이 든다.
(두 늙은 여인들간의 대화나 서로의 관계-대인에 대한태도- 한국사회에서 볼 수 있는 것과는 좀 다름)

가끔은 나의 어머니,아버지 두분중 한분이 홀로 되셨을때 외로우실 걱정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렇다고 두분이 그다지 활동적인 분들도 아니니 어느분이 되셨던 홀로 되셨을땐 많이 외로우실텐데
뾰족한 대안이 보이는것도 아니고

이 연극처럼 근처에 친구로 함께 지내실 분들이 있으면 좋겠지만 글쎄
어쩌면 황혼기의 두 사람의 인생이야기보단
그들을 지켜보는 자식들의 해결할 수 없는 고민의 그림자같이 다가온다.

그런데 극중 젊은 여인은 어떤 의도인지 잘 모겠다.
그냥 가끔 나와 어슬렁 어슬렁?
저 늙은 여인들의 회상형(?) 인간인가? 아니면 젊은 여인의 미래가 늙은 저 두 여인인가?

시놉을 보면 여성은 어떤 일생을 사는지등 잡다한 얘기가 나오는데
여성은 어떻고 남성은 어떻고?
인생 끝자락으로 넘어가면 다 비슷할텐데 이런걸 남여로 나눠서 될 문제가 아님에도
뭔가 있어보이도록 해놓은것인지

사람이 죽음직전에 무엇이 떠오르는가?는 남자 혹은 여자의 문제는 아닐거 같다.
단지 그 사람이 어떤 인생을 살았냐에 따라서 느껴지는 감정이 달라질뿐

오래전 드라마 '엄마의 바다'같이 전업주부라는 약간은 고립된 삶은 살다가
남편의 죽음으로 험난한 사회로 나온 한 어머니의 삶에 대한 내용같이
다른 세상에서의 깨달음같은 그런 내용에서나 성찰이란 말을 쓰는거지
무슨 여성들의 삶의 성찰이라는 등 그딴걸 적어놓는건지 이해할수 없다.
(이런건 관객 몰이를 위한 과대광고, 작가의 과대망상으로밖에 안보임)
내용 자체만으로 보면 고독한 사람들의 말동무로 잔잔한,
예전 흔하게 동내 사람들의 담소나누며 생의 마무리를 엮던 것 정도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없는 내용들이다. 그 속에서 작가는 무엇인가를 찾고 싶었던걸까?
(일본쪽이 이런 밍밍한 삶속에서 과할정도로 망상-개똥철학중 왕 개똥철학-을 많이 섞어놓긴 하는데)
자식으로서 부모의 모습을 걱정어린 시선으로 그려낸것인가

아무튼 잔잔히 시작해서 잔잔히 맽음을 하다보니
내용은 강렬한 사건이 발생한다거나 하지 않아서 독립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이다.

가정의 달인 5월이 되고 있으니 이런 연극 한편 자식들이 봐보는것은 좋지만
노부모들께서 보시기엔 글쎄..
(연극 자체가 너무 무자극이라 어머님들께서 연신 하품하는 소리가 들리던데 충분히 이해되는 상황임 -.,-;;)

제목처럼(오시마 료타의 하이쿠에서 나오는 한 구절이라고 함)
인생은 순식간에 지나간 아쉽고 그리운 시간들이겠지만 인간의 숙명인것을
(어떤 사람은 모두 이루었다고 자살하기도 하던데)

출연 : 박경은, 김보경, 김진희

 

'연극.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 -고린내-  (0) 2019.05.11
연극 -구멍을 살펴라-  (0) 2019.05.04
판소리완창 최진숙의 춘향가_김세종제  (0) 2019.04.21
연극 -잉여인간 이바노프-  (0) 2019.04.14
연극 -건축사와 아씨리황제-  (0) 2019.04.07
Posted by 시세상